고건 전 총리 시절 380여 명이던 총리실 인원은 이 전 총리 재임 중 590명까지 늘었다. 560명인 청와대보다 많다. 총리 산하 위원회는 현 정부 초기 35개에서 50개가 됐다. 총리실이 ‘큰 정부’ 만들기에 앞장선 모양새다.
그렇다면 총리실은 세금 값을 충분히 해 왔는가. 감사원은 지난달 총리실 국무조정실에 대해 “부처,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간 업무 중복이나 갈등이 많지만 조정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아 특별감사를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국회, 특히 야당과의 갈등을 자초해 국정이 꼬인 적도 여러 번이다. 이 전 총리의 3·1절 골프 파문에서 드러났듯이 총리실에 힘이 쏠리면서 총리와 주변 인물들이 집중적인 로비 대상이 되기도 했다.
한 총리는 취임식 때 고위 공직자 400여 명을 서열 따지지 말고 섞어 앉도록 했다. 어제는 “회의가 너무 많고, 참석자도 많으니 개선책을 찾아보라”고 지시했다. 전임 총리의 전투적 강성(强性) 이미지를 털어 내고 격식을 허무는 모습을 보이려는 것 같다.
하지만 형식의 파격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총리실부터 불필요한 조직과 인원을 줄여 한 푼의 세금이라도 아끼려는 노력이 급하다. 한 총리가 정말 개혁적이라면 조직 구조조정을 망설이지 말아야 한다. 비서실이나 각종 위원회의 ‘이념형 아마추어’들만 정리해도 혈세 낭비를 적지 않게 줄일 수 있다. 50개 위원회의 이름인들 다 외우겠는가.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