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발하기 이틀 전 e메일로 계약서가 왔습니다. 어, 그런데 모두 39명이 함께 간다네요! ‘세상에 이건 무슨 수학여행팀도 아니고, 어떻게 이럴 수가 있나.’ 당장 여행사로 전화를 했습니다. 휴가 시즌이라 사람들이 많이 몰렸다고 하더군요. 그러면 두 팀으로 나누기라도 해야 하는 거 아니냐고 했더니 대리점에서는 본사의 결정이라 자기들도 어쩔 수 없다고 그저 미안하다는 말만 하더군요.
어찌나 화가 나던지 이런 식으로 소비자를 우롱하면 해약하는 수밖에 없다고 했습니다. 그랬더니 원하면 그러라고 하면서, 하지만 여행비의 20%였던 계약금은 돌려줄 수가 없다고 합니다.
계약 위반인데 무슨 소리냐는 제 반박에는 “최소 인원은 정해져 있지만 최대 인원은 정해지지 않았다”며 오히려 큰소리였습니다.
[연재]청소년 경제 |
- [여정성 교수의 소비일기]소비자 우롱 여행사 |
- 나는 어떤 ‘외부효과’를 주는 사람일까 |
- 어린이 금융상품 어떤 걸 골라줄까 |
- 항공권 값은 왜 천차만별일까 |
- [논술로 풀어보는 경제] 임금 격차 |
전날까지 고민하다가 결국 가기로 했습니다. 아니, 안 갈 수가 없었습니다. 어떻게 잡은 휴가인데…. 그리고 얼마나 가보고 싶었던 곳인데…. 언제 또 날을 잡아서 다녀오나….
정말 후회가 막급했습니다. 왜 처음에 인원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았을까, 어쩌자고 이토록 사람들이 몰릴 때를 택했을까, 떠날 때는 돌아와서 정식으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생각이었는데, 그러나 돌아온 후엔 어디다 말 한 마디 안 했습니다. 그냥 그저 잊기로 했습니다. 다시 얼굴을 붉혀가며 싸우느라 모처럼 쌓은 좋은 추억을 잃기가 싫어서.
한 가지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이렇게 술술 쉽게 넘어가는 나 같은 소비자들이 많은 한 소비자들의 정당한 권익을 침해받지 않는 세상은 기대하기 힘들 거라고….
여정성 서울대 생활과학대 소비자아동학부 교수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