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도 두 주자 측은 ‘게임의 룰에서 먼저 이겨야 한다’며 물러설 기미가 아니다. 박 전 대표는 어제 취재기자들과 산행하면서 “경선 룰을 세 번이나 고치도록 양보했는데 또 고친다면 공당(公黨)이 아니다”고 했다. 이 전 시장 측도 “민심과 당심의 반영 비율이 50 대 50이 돼야 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따지고 보면 양측 대리인들이 참석한 3월의 경선준비위원회가 ‘8월 경선에 선거인단 20만 명을 대의원 20%, 당원 30%, 일반 국민 30%, 여론조사 20%로 구성한다’는 데 합의하고서도 여론조사 부분을 구체적으로 명확히 해놓지 않은 것이 화근이긴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전 시장 측이 당시에는 문제 제기를 제대로 않다가 뒤늦게 여론조사 반영 인원을 4만 명 정수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여론조사 반영 인원을 대의원, 당원, 일반 국민의 평균 참가율에 따르도록 하는 방식은 지난해 서울시장 후보 경선에서도 이미 적용된 바 있다. 평균 참가율을 적용하면 여론조사 반영 인원은 4만 명보다 훨씬 줄어든다.
그렇다고 “경준위의 합의를 한 자도 바꿀 수 없다”고 버티는 박 전 대표 측도 설득력이 약하다. 지난해 당 혁신위원회의 ‘6월 경선-선거인단 5만 명’ 결정을 지금의 방안으로 바꾼 것은 여권의 오픈 프라이머리(국민경선제)에 맞서서 경선 흥행도 할 겸 ‘진짜 경쟁력 있는 후보’를 뽑기 위해서였다. 박 전 대표 자신도 2002년 경선 때 민심 반영 비율 확대와 집단지도체제 도입 등을 주장하다가 거부되자 탈당까지 한 전력이 있다.
양쪽 다 ‘약점’이 있다면 경선 룰은 당에 맡기고 두 사람은 정책 경쟁에 다걸기(올인)하는 것이 옳다. 그것이 한나라당과 두 사람이 상생(相生)하는 길이다.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