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써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 후보의 BBK 사건 연루 의혹에 대한 재수사가 불가피하게 됐다. 검찰의 편파 수사 및 축소 발표 의혹도 수사 대상이다. 신당은 검찰 수사가 날조됐다고 주장하지만 검찰은 “백번 수사해도 결과는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이 후보도 결백을 자신하기에 특검을 수용했을 것이다. 진실 규명은 특검의 몫이다. 그렇다고 해도 특검법이 담고 있는 독소조항과 신당이 대선을 코앞에 두고 이를 추진한 정략적 의도에 대해서는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특검법은 이 후보의 BBK 연루 의혹에 대한 전방위 수사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명칭부터가 이 후보를 범죄자인양 단정하고 있다. 더구나 위헌 소지가 다분한 참고인 동행명령제까지 담고 있다. 이 후보를 ‘잠재적 범죄자’로 몰아 수사 결과에 관계없이 대선에서 승리하더라도 대통령 당선자가 특검에 소환되는 초유의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 줘 망신을 주겠다는 것 아닌가.
신당의 노림수는 특검 정국을 조성해 그를 압박하는 한편, 특검 찬성 세력을 하나로 묶어 내년 4월 총선에서 반(反)이명박 전선을 구축하겠다는 의도일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당선 무효가 될 수도 있다고 계산했을 것이다. 나라꼴이야 어떻게 되든 판을 흔들어 살아남고 보자는 정략적 발상이다.
특검법이 발효되면 내년 2월 25일 새 대통령 취임 때까지 수사가 계속될 수밖에 없다. 정권 인계인수와 새 정권의 기초를 다지는 데 시간과 정열을 쏟아 부어도 부족할 판에 특검에 발목이 잡히게 생겼다. 극심한 혼란과 분열이 불을 보듯 뻔하다. 신당은 대선을 연장전으로 몰고 가 국민의 선택까지 뒤집을 생각인지 모르나 특검 결과에 대해서는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