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자원 수요는 국제 질서에도 불안정 요인이 되고 있다. 독일의 시사주간지 슈피겔의 기자들은 최근 펴낸 ‘자원전쟁’이란 책에서 “중국이 자원 확보를 위해 아프리카 우익 독재자에서부터 중동 극단주의자, 중남미 좌파들까지 닥치는 대로 연대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앞으로 자원 부국과 빈국 간에 신(新)냉전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도 러시아 등 신흥 국가들의 고도성장도 이를 부채질하고 있다. 자원 수요는 끝이 없는데 공급은 한정돼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와 만모한 싱 인도 총리가 모스크바로 날아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난 것도 에너지 확보를 위해서였다. 비슷한 시기에 일본 아마리 아키라(甘利明) 경제산업상은 백금 코발트 니켈을 확보하기 위해 기업인 60명과 함께 남아공과 보츠와나로 날아갔다. 자원 확보에 혈안이 된 이들 국가로 인해 장차 신냉전보다 더한 긴장과 갈등의 시대가 올 수도 있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실무형 총리와 리베로(특임) 장관의 주 임무로 ‘자원 외교’를 내건 것도 이 때문인 듯하다. 총리나 장관만으로는 안 된다. 대통령도 뛰어야 한다.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3년간 자원 확보를 위해 방문한 아프리카 나라가 14개국이다. ‘자원 외교’뿐 아니라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자원 전문가들도 키워야 하고 신에너지 개발에도 힘써야 한다. 할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허문명 논설위원 angelhuh@donga.com
구독 135
구독 37
구독 97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