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이해명]TV 끄고 책읽는 현명한 부모

  • 입력 2008년 3월 21일 02시 58분


TV를 끄고 살 수 있을까? 아마 대부분의 현대인은 살 수 없다고 대답할 것이다. TV 화면으로 보여 주는 생생한 뉴스는 곳곳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이 마치 이웃에서 일어나는 일처럼 실감난다. 정치인이 흘리는 눈물은 표의 향방을 바꾸어 놓는다. TV로 보는 자연 다큐는 우리에게 자연의 신비로움을 체험하게 한다. 스포츠 중계로 우리는 세계 일류 선수들의 묘기를 안방에서 볼 수 있는 기쁨을 누린다.

과도한 TV시청, 사고력 저하 초래

그러나 TV는 좋은 영향 못지않게 나쁜 영향이 많다. 그것이 이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학생의 학력 저하나 학교 폭력도 TV의 과도한 시청이 그 한 원인이라는 것이 밝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도 TV 시청 시간을 줄여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져 앨 고어 전 부통령 부인이 TV 시청시간을 줄이자는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한 방송사가 도서지역의 몇 가족을 대상으로 하여 3주간 TV를 끄고 생활하게 했더니 가족의 생활패턴이 급격하게 변화했다고 한다. 대화가 없던 가족 사이에 대화하는 기회가 많아졌고, 신문이나 책을 보고 같이 토론하는 시간도 늘어났다.

TV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좋은 것이냐 나쁜 것이냐의 문제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TV의 과도한 시청이 학생들의 학력을 저하시킨다는 것은 분명하다. TV를 보면서는 그 내용을 깊이 생각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책을 읽으면서는 생각을 깊이 하게 된다. 생각을 하지 않고 책을 읽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책을 읽는 과정은 이해, 분석, 종합, 판단을 포함하는 복잡한 과정이며, 그것은 사고의 과정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TV를 끄게 되면 가정에서 독서의 기회가 많아지고, 독서의 기회가 늘어나면 사고력이 높아지게 되고, 사고력이 높아지면 학력이 높아진다.

학생들의 학력 신장을 위해 한국 사회는 눈물겨운 노력을 기울인다. 과외비를 벌기 위해 험한 일을 마다하지 않는 주부들이 있는가 하면, 영어 교육을 위해 기러기 아빠가 되는 직장인도 늘고 있다. 몇 년 전에는 강남의 학교에 보내기 위해 불법으로 주민등록을 옮기는 가정도 많았다. 소위 사회 지도층 인사들도 위장전입을 했다. 아이들의 학력을 높이기 위해 가정이 파괴되는 기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런 노력들은 효과가 없다는 것이 증명되고 있다.

문제는 가정환경이다. 학생들의 학력을 높이는 길은 가정환경에 달려 있다는 것이 교육학자들의 일치된 견해다. 그런데 우리 상식과 달리 가정의 경제형편이나 부모의 사회적 지위는 아동의 학업성적과 관련이 없다고 한다. 부모의 태도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부모와 아이들이 책을 읽고 같이 토론을 하는 시간이 있느냐 없느냐가 아이들의 학업성적과 가장 상관이 높다고 한다. 아이들의 독서 습관은 어려서부터 책을 가까이하는 기회를 갖느냐가 중요하다. 책을 읽는 습관은 어려서부터 길러져야 한다. 그것은 가정으로부터, 그리고 부모로부터 시작돼야 한다. 부모가 책을 읽지 않고 아이들에게 책을 읽으라고 해서는 아이들은 절대 책을 읽지 않는다.

독서습관 들이면 자녀성적 올라

대부분의 영재는 초등학교 시절에 독서광이었다. 영국의 문필가인 존 스튜어트 밀의 아버지는 아들에게 책을 읽게 한 다음에 꼭 토론을 했다고 한다. 책의 내용은 물론 책의 논리까지 묻고 대답하는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 아이들 혼자 책을 읽게 해서는 독서 효과가 크지 않다. 부모가 같이 책을 읽고 그 내용이나 논리를 토론하는 시간을 갖는 게 가장 효과적이다. 부모가 TV를 끄고 아이들과 같이 책을 읽고, 대화하면 가정이 살아나고 아이들의 인생이 커진다.

이해명 단국대 교육학과 교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