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정교 복원’ 기우뚱

  • 입력 2008년 6월 4일 03시 01분


경주시가 복원 중인 신라 왕경의 누각 다리 월정교 모형.
경주시가 복원 중인 신라 왕경의 누각 다리 월정교 모형.
복원공사가 시작되기 전 월정교 터의 모습. 교각 아랫부분의 기초석만 남아 1300년 전 월정교의 화려한 자취를 찾아볼 수 없다. 이 때문에 당대 월정교의 모습을 복원하자는 계획이 추진됐다. 사진 제공 경주시
복원공사가 시작되기 전 월정교 터의 모습. 교각 아랫부분의 기초석만 남아 1300년 전 월정교의 화려한 자취를 찾아볼 수 없다. 이 때문에 당대 월정교의 모습을 복원하자는 계획이 추진됐다. 사진 제공 경주시
경북 경주시에서 월정교(8세기·사적 제457호) 복원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복원 방향을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화재청도 지난달 29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월정교 복원 방향을 재론하는 간담회를 열었다.

경주시는 235억 원을 들여 내년 말까지 월정교를 복원하겠다며 4월 말 첫 삽을 뜬 상태다. 하지만 문화재청의 재고에 따라 복원 방향 등이 바뀌게 되면 복원 전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아 예산 낭비를 초래했다는 지적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신라의 수준 높은 토목 기술을 보여주는 월정교는 최소 길이 55m, 너비 12m, 높이는 5m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다리로, 신라 왕궁 월성과 불교 유적이 있는 남산을 잇는 신라 왕경(王京)의 대표 다리였지만 지금은 교각 가장 아랫부분의 기초석만 남아 있다. 이곳에서 발견된 목재와 기와 조각으로 미루어 볼 때 누각을 얹은 화려한 다리로 추정되는 유적.

경주시는 현재 기초석이 남은 유구(건축물의 자취)를 토대로 월정교를 복원할 계획이다. 하지만 지난달 말 이건무 문화재청장 주재로 간담회가 열려 문화재위원회 건축문화재분과 사적분과 문화재경관분과 등 위원 10여 명이 월정교 복원 방향을 다시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리지는 못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공사가 시작된 뒤 이 같은 간담회가 열린 것은 이례적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월정교 모습에 대한 구체적 기록이 없다는 점이다. 월정교 복원 기술자문위원회에서 “완벽한 고증이 불가능하다면 복원하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으나 “천년 고도 경주의 진면목을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제자리에 복원하는 게 좋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이번에 문화재청이 재검토에 들어간 이유는 유구를 기초로 월정교를 세우면 유구 훼손이 불가피한데 월정교 복원이 유구를 손상해도 될 만큼 문화재적 가치가 있느냐는 지적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문화재위원인 주보돈 경북대 교수는 “발굴된 석재의 43%를 복원에 재활용하겠다고 했지만 이 석재가 다리 어디에 쓰였는지 확인되지 않은 상태”라며 “8세기 월정교에 대한 완벽한 고증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엉뚱하게 끼워 맞추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일부 문화재위원은 관람과 교육을 위해 월정교를 재현 또는 중창(重創)하자는 취지라면 유구를 훼손시키지 말고 다른 자리에 월정교를 세우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반면에 문화재위원이자 월정교 복원 기술자문위원으로 참여한 장경호 전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은 “처음에는 복원에 반대했지만 경주가 한국의 대표적 역사도시임에도 봉분밖에는 볼 게 없다는 현실을 감안할 때 1년 넘게 일본이나 중국에 남아 있는 누각 다리를 고증한 만큼 월정교를 당대 모습에 현대적 예술 감각을 보태 문화재로 살려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경주시가 역사문화도시 조성사업을 진행하면서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고 성급하게 추진한 측면이 있다”며 “월정교 복원은 관광 증진 차원이 아니라 경주를 진정한 역사 고도로 만들기 위한 작업이므로 연말까지 공청회 등 여론을 수렴해 복원 방향을 다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