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에 맞는 금융상품들도 찾아줘
《고액자산가가 아닌 일반 고객이 은행에서 전문 재테크 상담을 받거나 투자 정보를 얻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은행을 직접 찾아가지 않고 시중은행들의 인터넷 홈페이지만 잘 이용해도 쓸 만한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다.은행들은 홈페이지에 예금 불입액이나 대출 한도, 은퇴자금, 대출상환액 등을 고객이 직접 계산할 수 있는 각종 온라인 프로그램을 마련해 놓고 있다. 》
고객들이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면 프로그램이 원하는 정보나 수치를 자동으로 산출해 주는 시스템이다. 대부분의 경우 이런 서비스를 이용할 때 별도로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된다.
신한은행은 홈페이지에 부동산 취득·등록세,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등을 알아서 계산해 주는 ‘부동산 셀프계산기’를 갖추고 있다. ‘재건축 종합계산기’는 추가부담금, 개발이익환수금 등을 즉석에서 계산해 준다. 외환송금 및 대출이 필요할 때도 고객들은 금융계산기를 통해 사전에 적용 환율과 납입이자액 등을 조회할 수 있다.
하나은행 홈페이지는 고객의 은퇴자금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상으로 자신과 배우자의 나이, 자녀 수 및 나이 등을 넣고 예상 은퇴연령, 현재의 금융자산 및 투자성향 등을 입력하면 은퇴 후 필요한 생활비를 자동으로 계산해 준다. 이 서비스는 필요한 은퇴자금을 마련하는 데 적합한 예금 펀드 보험 등 금융상품도 함께 추천한다.
우리은행의 ‘맞춤예금찾기’ 프로그램은 상품 가입기간과 목적, 금리 적용 방식 등을 고객이 선택하면 그에 맞는 금융상품을 자동으로 검색해 준다.
또 홈페이지에서 목표금액을 마련하기 위해 매월 납입해야 하는 적금 액수, 일정액을 대출받기 위해 내야 하는 이자 액수, 신용카드 할부 수수료 및 현금서비스 수수료를 자동으로 계산해 주는 금융계산기 프로그램도 갖고 있다.
국민은행의 홈페이지는 무엇보다도 공신력 있는 부동산 시세 정보가 강점이다. 전국 주택의 가격 동향과 아파트 가격 정보 및 기준시가 등을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알아볼 수 있다. 해외 부동산 코너에서는 국가별 부동산 관련 법률 및 세금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유재동 기자 jarrett@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