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평 씨는 정 씨의 부탁으로 정대근 당시 농협중앙회 회장에게 세종증권 대주주였던 세종캐피탈 대표를 만나도록 주선한 사실을 시인했다. 그가 농협회장과 세종증권 대주주를 연결시키는 역할만 해주고 아무 대가를 받지 않았는지는 검찰 수사가 밝혀내야 할 핵심 사안이다. 설사 돈을 받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대통령의 형으로서 절대로 하지 말았어야 할 청탁 행위를 했다. 80억 원의 로비자금 사용처가 낱낱이 드러나면 노무현 정권이 간판처럼 내세웠던 도덕성이 송두리째 흔들릴 수 있다.
이 사건 외에도 이강철 전 대통령정무특보가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를 받고 있는 것을 비롯해 다수의 ‘노무현 사람들’이 검찰의 수사 및 내사를 받고 있다. 노 전 대통령의 후원자인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은 세종증권이 농협에 인수되기 전에 측근 명의로 세종증권 주식을 사들여 100억 원의 시세차익을 챙겼다. 신발회사 회장이 주식 투자로 100억 원을 벌었다는데 믿을 만한 정보도 없이 부하 직원의 결재 서류만 보고 투자했다고 한다면 그 말을 믿을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
이명박 정권 사람들은 나중에 노 정권 사람들 신세가 되지 않으려면 이번 사건을 가슴에 새겨야 한다. 모름지기 대통령 측근과 주변 사람들은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권력 주위에는 청탁과 비리 유혹이 끊이지 않는다. 대통령의 사람들은 항상 긴장하고 스스로 경계해야 한다. 몸단속 집안 단속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4년 뒤에는 비리에 연루된 노 정권 측근들과 똑같은 꼴을 당하게 될 것이다.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