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의 상황이라면 이 정도의 저금리에 도달하는 동안 재고도 많이 줄고 부실기업의 구조조정도 꽤 이뤄져 경기부양의 약효가 여기저기서 나타날 법도 하다. 하지만 지금은 전혀 여건이 다르다.
경기침체에 맞춰 장기간 이자율을 내리고 부양책을 펴 온 게 아니라 금융위기로 방죽이 무너지는 것을 막으려고 일거에 모든 조치를 발동했기 때문이다. 진짜 경기한파가 오기 전에 금리를 선제적으로 재빨리 떨어뜨렸고 온갖 정책을 앞 다퉈 쏟아낸 것이다. 어찌 보면 쓸 약은 다 썼고 이젠 하늘을 보며 그 효험만을 기다려야 할 판국이다.
그러니 주가 흐름은 이제 정책보다는 현실경제에 달려 있다. 지금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라면 오갈 데 없는 돈의 힘만으로 주가가 먼저 뜨고, 그 다음 경기 반전에 발맞춰 주가 상승이 이어지고 마지막으로 이미 펼쳐진 경기부양 효과까지 가세해 증시가 뜨겁게 달아오르는 것이다. 즉 저금리로 이륙한 주가가 그 다음 경기 순풍을 타고 높이높이 날아가는 멋진 금융장세의 모델이다.
하지만 이 반대의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경기침체로 돈은 전혀 돌지 않고 시간이 지나도 기대했던 경기 반전은 감감무소식이고 오히려 경기부양의 부작용만 맞바람으로 불어와 주가가 바닥을 탈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경기와 금리, 주가가 다 함께 늘어지는 어디선가 본 듯한 디플레이션 역실적 장세의 모습이다.
증시의 이 두 가지 운명은 결국 이번 실물경제의 진실게임에 달려 있다. 이제 주식시장의 공은 경기 쪽으로 넘어 왔다. 만일 경기가 없다면 돈은 돌지 않고 유동성 장세도 없을 것이다. 경기의 도움 없이는 주가가 떨어져도 그 주가를 결코 싼 가격이라 말할 수 없다. 엄청난 재정지출에도 불구하고 경기가 꿈쩍도 하지 않는다면 그 실망감은 말로 표현할 수가 없을 것이다.
이번 겨울이 무척 춥다고 예보됐지만 의외로 덜 춥다면 지금 주식을 사야 한다. 하지만 만일 예상보다 훨씬 매서운 추위가 몰아친다면 여전히 현금을 아껴야 한다. 이제부터는 증시에서 정말 상상보다는 현실(fact)이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김한진 피데스투자자문 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