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증현 경제팀의 최우선 과제는 시장(市場)과 민생 현장에서 먹히는 정책을 통해 대내외 신뢰를 창출하는 일이다. 최근 주가와 원화가치, 물가가 어느 정도 안정세로 돌아서면서 경제성장률 제고와 일자리 창출, 국제수지 관리에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여유가 생겼다. 글로벌 위기로 정부의 역할이 커졌다고 하지만 ‘낡은 관치(官治)’가 아니라 시장 친화적 접근이 필요하다. 정책 집행과정에 오류가 있으면 머뭇거리지 말고 궤도를 수정하는 유연성도 더 없이 중요하다.
경제부총리가 없는 현실에서 재정부 장관이 정부 경제팀 내 리더십을 발휘하려면 대통령의 신임과 위임이 절대적이다. 이규성 전 재정경제부 장관은 외환위기 극복과정에서 부처 간 조율을 주도할 수 있었던 일등공신으로 35차례 대통령 독대와 87회 관계부처 장관회의 주재를 꼽았다. 이명박 대통령은 직접 나서야 할 일이 아니면 과감하게 재정부 장관에게 힘을 실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제 살리기는 정부의 힘만으로는 안 되고, 사회 각계의 동참이 필수적이다. 외환위기 직전 야당, 노동계, 일부 사회단체는 노동법과 금융관련법 개혁에 강력히 반대했다. 1997년 1월 노동계가 한 달 가까이 벌인 총파업은 2조8500억 원의 생산 차질을 초래했다. 한 치 앞을 내다보지 못한 강성투쟁은 결과적으로 국제통화기금(IMF)의 가혹한 구조조정을 불렀다. 이런 과오가 되풀이된다면 큰일이다.
경제 살리기라는 국가적 과제 앞에서 여야의 구분이나 보수 진보의 편 가르기가 있을 수 없다. 새 경제팀이 소신껏 일할 수 있도록 모든 경제주체의 협력이 필요하다. 사사건건 발목을 잡으면 경제회생의 길은 더 멀어질 뿐이다. 윤증현 경제팀이 실패하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갈 것임을 각 경제주체는 명심해야 한다.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