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과 한국표준협회가 최근 마련한 ‘장례식장 서비스 KS인증 심사기준’ 초안 중 일부다.
두 기관 관계자들은 지난달 이 초안을 들고 서울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등 전국 장례식장 세 곳을 돌며 과연 이 기준이 현장에서 제대로 적용될 수 있을지를 시험했다. 일종의 ‘파일럿 테스트’였다.
시험 결과 이 초안을 적용하는 데 별 무리가 없다는 게 두 기관의 판단이어서 올해 중에 장례식장에 대해 KS인증제가 실시되면 조만간 ‘KS인증 장례식장’ 1호도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서비스업에 대해서도 KS인증을 부여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부터. 그러나 지금까지 KS인증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업은 콜센터와 건물 시설관리 등 2개 업종뿐이다. 다른 업종에 대해서는 심사기준이 아직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콜센터의 경우 상담원이 전화를 받는 데 걸리는 시간, 첫 통화에서 상담이 해결되는 비율 등이 KS인증 기준이다.
한국 경제에서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지 오래다. 그런데 한국 서비스업 전반의 ‘품질’에 대해 높은 평가를 내리는 이는 많지 않은 것 같다. 지난달 한국생산성본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최하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실제 결혼을 준비하거나 이사를 하다가 일부 악의적인 업체에 걸려 화를 삭인 경험이 누구나 한 번씩 있을 것이다.
이사나 결혼, 장례처럼 자주 있는 일이 아니고 한번 계약하고 나면 업체 변경이 어려운 업종일수록 악덕 상혼이 활개를 치기 쉽다. KS인증이 소비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야다.
기술표준원과 표준협회는 장례식장에 이어 앞으로 애프터서비스, 차량 수리 등의 분야로도 KS인증을 확대할 계획이다. 표준협회 관계자는 “KS인증이 제조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것처럼 서비스업에서도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KS인증 장례식장’에 이어 ‘KS인증 예식장’, ‘KS인증 택배업체’도 나오길 기대한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정치인에 대해서도 선거 전에 누군가가 인증 서비스를 해주길 바란다면 지나친 욕심일까.
장강명 산업부 tesomiom@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