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대 사건’은 1989년 5월 3일 부산 동의대 학생들이 입시부정 문제로 전경들을 감금하고 불법 농성을 벌이다 전경을 구하려는 경찰에 화염병을 던져 7명을 숨지게 한 사건이다. 가해자들은 2002년 민주화운동보상심의위원회 결정에 따라 민주화운동자로 둔갑했다. 법을 수호하려다 귀한 목숨을 잃은 경찰관들은 졸지에 민주화운동을 진압하려던 반(反)민주 인사가 된 꼴이다. 한나라당 전여옥 의원은 이 사건을 재심할 수 있도록 하는 법을 추진하고 있고 희생경찰 보상법안도 3월 발의됐다.
경찰이 불법 폭력시위대에 테러를 당하는 현실은 동의대 사건 20년이 흐른 지금도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다. 1일과 2일 서울 도심에서 ‘독재 타도’를 외치는 시위대가 경찰에 보도블록을 깨 던져 경찰 4명의 코뼈가 부러졌다. 하이서울페스티벌 행사에 참석했던 외국인들은 “시위대가 경찰을 때리는 것은 처음 본다”고 했다. 3월 용산 철거민 관련 시위 때는 경찰을 집단폭행하는 일이 벌어졌다. 시위를 주도하는 단체들은 아직도 독재정권 시대의 민주 대 반민주 구도에 사로잡혀 경찰에 대항하는 것을 민주화운동이라고 착각하고 있다.
20년 동안이나 동의대 사건 순국 경찰관 추도식을 외면한 경찰은 비겁하다는 말을 들을 만하다. 이렇게 눈치나 봐왔으니 ‘매 맞는 경찰’은 자초한 것이나 다름없다. 경찰이 상습적 불법 폭력시위를 일삼는 민주노총과 ‘평화시위 양해각서’나 주고받아서야 권위가 바로 설 리 없다. 지난달 미국 경찰이 시위 도중 폴리스라인을 넘은 여당 소속 연방 하원의원 5명을 수갑 채워 체포한 것을 보라. 국가공권력의 상징인 경찰이 불법 시위대에 폭력을 당하고서도 엄포만 놓다 마는 일이 계속되면 동의대 사건 같은 비극이 또 생기지 말란 법이 없다.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