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사고뭉치 朝鮮무장 뒤엔 문무조직 갈등이…

  • 입력 2009년 6월 27일 03시 00분


조선시대 무신은 술에 취해 사고를 치거나 길거리에서 난투극을 벌이는 등 수많은 추태를 보였다. 폭음 문화와 무신의 소양 부족 탓이다. 그러나 근본 원인은 무신에게 필요한 문화와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문신을 위한 관행과 문화를 무신에게 강요했던 것. 무신들은 이런 문화에 적응하지 못했고, 결과적으로 조선의 국방력이 약화되는 비극을 낳았다.

○ 고위급 무신들의 추태

1407년 12월 서울의 종로 거리에서 수십 명이 가담한 난투극이 벌어졌다. 불량배들의 패싸움이 아니라 조선의 고위 무장과 일급 무사들이 벌인 결투였다. 그것도 말을 타고 창대를 휘두르며 벌인 대결이었으니 상당한 볼거리였다.

싸움의 주인공은 종3품 대호군 황상과 지금의 서울시장 격인 판한성부사 겸 우군 총제 김우였다. 황상은 개국공신인 황희석의 아들이다. 황희석은 중이었다가 환속해 태조 이성계의 심복이 된 인물이었다. 김우도 신분은 낮았지만 태종의 총애를 받아 출세한 무장이었다. 출신과 환경이 비슷한 두 사람이 싸우게 된 원인은 ‘가희아(可喜兒)’라는 이름의 기생 때문이었다. 황상이 이 여인을 자신의 첩으로 들어앉히자 김우가 격분했다. 김우는 궁을 경비하던 갑사들을 보내 황상의 집을 강제 수색하고, 다음 날 가희아를 찾아내 납치했다. 이 소식을 들은 황상은 몽둥이를 들고 가희아를 구출하기 위해 말을 달렸다. 그리하여 이 싸움이 벌어졌다. 오늘날로 치면 장군들이 이런 싸움을 벌였으니 보통 추태가 아니었다.

이 외에도 무장들의 사건 사고는 ‘조선왕조실록’ 전체에 넘치도록 많다. 술에 취한 무장이 서리나 부하들을 두들겨 팬 일은 수도 없다. 무장이 고위급 문신이나 다른 무장을 구타해 문제를 일으켜 파직이나 유배를 당한 사례도 허다하다.

○ 다원성 인정하는 소양 교육 필요

무장들의 사고는 폭음과 공부 부족 때문이기도 했다. 그러나 더 근본적인 원인은 문신 중심의 조선 조정이 유학의 가치만을 강조한 데 있었다. 무장들은 문관 중심으로 형성된 관료 세계의 법도와 예절, 관행에 적응하기 힘들었다. 특히 무신의 소양이 부족해진 이유는 이들에게 문신을 양성하기 위해 만들어놓은 교육 방식을 일방적으로 강요했기 때문이다. 조선 중기부터는 무신 유망주를 발굴해 이들에게 유학을 교육하는 소위 ‘유학자 장군’ 양성 프로그램까지 시행했다. 이는 무신들의 부적응이라는 부작용만 키웠다. 조정 내부의 갈등은 더욱 심화됐고, 결과적으로 이는 국방력의 약화를 초래했다.

이런 현상은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도 비슷하게 반복되고 있다. 실제 조직 내 갈등의 대부분은 소통과 소양 부족 때문에 생긴다. 그래서 선진국에서는 다양성과 다원성을 인정하는 교육과 훈련을 강조한다. 하지만 우리 교육은 아직도 입시와 성과 위주다. 최근 이런 문제를 인식하고 소통과 소양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이 일방적 지식과 형식적 예절의 강요로 채워지고 있다. 이는 조선시대의 실수를 되풀이하는 것이다.

소통과 소양 교육의 본질은 다양성을 인정하고 공존의 가치와 방법을 찾는 것이다. 특히 직급이나 부서 간 갈등이 심한 조직이라면 서로를 용인하고 협력하는 자세를 갖도록 하는 교육과 훈련에 눈을 돌려야 한다.

임용한 경기도 문화재 전문위원

※ 이 기사는 동아비즈니스리뷰(DBR) 36호(7월 1일자)의 ‘전쟁과 경영’ 코너에 실린 글을 요약한 것입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