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문제등 더 꼬여 현안 해결 능력에 한계”
안보리 상임이사국 日-獨 포함 개편도 쟁점
이와 관련해 미국 내 전문가들은 과연 유엔이 세계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할 의지와 능력이 있느냐를 두고 갑론을박하고 있다. 유엔의 권능에 회의적 시각을 가진 전문가들은 유엔이 이런저런 주제를 놓고 토론을 벌이는 자리이기는 하지만 실질적인 해결책을 내놓는 해결사의 역할을 하는 데는 한계를 보인다는 비판을 내놓는다.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국무부 국제기구담당 차관보를 지낸 헤리티지재단의 킴 홈스 외교국방연구소 부소장은 “안보리를 포함한 유엔의 의사결정구조 특성상 현안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며 “문제 해결의 장이 아닌 막다른 골목으로 몰아가는 외교 교착의 주범이 된 경우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과 이란 핵에 대한 대처를 대표적인 예로 꼽았다.
유엔 내에서도 개혁의 목소리는 높았다. 코피 아난 전 유엔 사무총장 시절에는 새천년을 맞아 ‘밀레니엄 리포트’를 내놓고 개혁을 추진했지만 결과는 신통치 않았다. 유엔 주재 미국대사를 지낸 존 볼턴 미국기업연구소(AEI) 선임연구원은 “미국과 일본 등이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유럽 국가들은 현상 유지를 선호하는 것 같다”며 “유엔의 근본 틀을 바꾸는 개혁은 아마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보리 개편 논의 역시 그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쉽게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냉전시대의 산물인 상임이사국을 새롭게 개편해야 한다는 것이 주요 쟁점이다. 일본과 독일은 유엔 분담금 규모가 각각 2, 3위이며 실질적인 국력과 경제력 등을 고려할 때 5개국 체제를 7개국으로 늘려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이제는 유엔의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집수리’를 하는 것이 어렵다면 아예 새로운 집을 짓는 게 낫다는 논지이지만 큰 공감은 얻지 못하고 있다.
워싱턴=하태원 특파원 triplets@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