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훈 국가정보원장은 6일 “천안함 침몰 전후로 북한의 특이 동향은 없었다”며 “북한의 관련 여부를 현재로서는 단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원 국정원장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해 “북한의 연관성 유무는 파편 등 물증이 나와야 알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정보위 한나라당 간사인 정진섭 의원이 전했다.
그는 북한의 천안함 침몰 사건 연루 가능성에 대해 “만약 북한이 연루됐다면 해군부대나 정찰국 차원에서 한 것이 아니다”라며 “이 정도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승인 없이는 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고 한 정보위원이 전했다.
이와 관련해 천안함이 침몰한 지난달 26일부터 지금까지 북한이 개입했다는 단서가 될 만한 내용이 북한군 내부 통신에서는 전혀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천안함 침몰 이후 북한의 서해안 일대는 물론이고 내륙지역까지 북한군 내부통신을 들어봤지만 천안함 침몰과 관련한 통신 내용은 잡히지 않았다”며 “현재 북한군 전체가 천안함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와 군 당국이 천안함 침몰 직후 북한의 공격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한 배경에도 북한군 통신감청 결과 특이사항을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북한군 내부통신에 천안함 침몰과 관련한 내용이 포착되지 않는 이유를 둘러싸고 “북한이 이번 사건에 개입하지 않았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우리가 감청하는 사실을 잘 아는 북한이 군 통신을 통해 그런 ‘천기’를 누설할 리 없다”는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다.
한편 천안함 생존 장병들은 7일 오전 국군수도병원에서 언론을 상대로 당시 상황에 대해 공개적으로 진술한 뒤 이르면 8일 실종자 가족들과 만날 예정이라고 국방부가 밝혔다.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 시기에 대해서 원 국정원장은 “9일 북한 최고인민회의가 열려 그 이전에 방문하든지 아니면 4월 말쯤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12일 이후 중국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의 외국 순방이 예정돼 있어 4월 중순은 어렵다. 4월 하순엔 방중을 맞아줄 중국 측 인사들의 준비상황 등을 고려할 때 25∼28일이 가능하다”고 말했다고 참석한 의원들이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