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28일 전격적으로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과 관련해 외교라인을 풀가동해 ‘긴급 6자회담 수석대표 협상’을 제안하고 나선 것은 무엇보다도 갈수록 높아지는 국제사회의 압력을 회피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나아가 또 다른 형태의 ‘북한 감싸기’라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은 이날 오전 다이빙궈 국무위원이 서울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면담한 데 이어 오후엔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베이징(北京)에서 “12월 상순 베이징에서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 긴급협상을 열자”고 제안했다. 이에 앞서 양제츠(楊潔지) 외교부장은 26일 미국 한국, 27일에는 일본 러시아의 외교장관과 잇따라 통화를 한 뒤 6자회담을 통한 협상국면 전환 구상을 전했다.
양 부장은 지재룡 주중 북한대사도 직접 만났다. 북한에 왕자루이(王家瑞)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을 곧 파견할 것이라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30일 중국을 방문할 예정인 북한 최태복 최고인민회의 의장이 중국 지도부를 면담할 것이라는 말도 있다.
중국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은 이번 연평도 사태에 대해 역할을 해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압력에 뭔가 노력하고 있다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는 게 베이징 외교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북한의 우라늄 농축을 위한 원심분리기 시설 공개에 이어 연평도 사태까지 터져 나온 상황에서 북한의 유일한 동맹국인 중국이 수수방관하고 있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나아가 아직 북한을 명시적으로 두둔하지는 않고 있지만 중국의 이런 자세는 북한의 호전적 연평도 도발의 책임을 희석하고 결국은 또 다른 형태의 북한 감싸기라는 분석도 있다. 결국 과거처럼 ‘사고를 친’ 북한에 시간을 벌어줘 ‘소극적 방패막이’역을 하려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중국은 지난해 5월 북한의 2차 핵실험 이후 원자바오 총리의 10월 방북, 그리고 올해 3월 천안함 폭침 사태 이후에는 김정일 위원장의 5월 방중에서 북한이 6자회담 복귀 의사를 나타낸 것을 큰 진전인 듯 취급했다. 하지만 핵폭탄 제조 직전인 원심분리기 가동과 연평도 도발이 이어졌다.
한국이나 미국 일본이 민간인 피해까지 발생한 무력 도발에 대해 북한에 아무런 책임도 묻지 않은 상태에서 중국 측의 이런 대화 제의에 선뜻 나서지 않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