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푸근한 이웃이던 우면산이 쏟아낸 재앙

  • 동아일보
  • 입력 2011년 7월 29일 03시 00분


우면산은 서울 강남의 허파 역할을 했다. 강남 주민은 도심 빌딩 숲과 주택지대를 끼고 펼쳐진 해발 293m의 녹지공간을 자연의 축복으로 여겼다. 산세는 소가 졸고 있는(牛眠·우면) 듯한 자태다. 울창한 수풀 속엔 개망초 원추리 애기똥풀이 지천이었다. 주민은 곳곳에 등산로와 약수터, 생태공원이 있는 산을 푸근한 이웃집처럼 오르내렸다. 풍광 좋은 산 아래쪽엔 고층아파트와 전원주택이 들어섰다. 그 평화롭던 산이 하루아침에 표변해 18명의 목숨을 앗아가고 마을을 흙더미로 만들었다. 흙탕물이 쓰나미처럼 마을을 휩쓰는 순간 자연의 축복은 재앙으로 변했다.

이틀간 460mm의 폭우가 쏟아진 게 직접적 원인이지만 인재(人災)가 화를 키웠다. 우면산은 10여 년 전 산사태 시뮬레이션에서 사면(斜面)이 불안정해 개발이 부적합하다는 Ⅲ등급 판정을 받았다. 또한 산림청의 ‘산사태위험지관리시스템’에서 우면산은 가장 위험도가 높은 ‘1등급’이었다. 서울시도 우면산 일대를 절개지 C등급(매우 위험)으로 분류해 놓았다. 지난해 9월 태풍 ‘곤파스’가 우면산을 강타해 수백 그루의 나무가 뿌리째 뽑히고 토사가 유실되는 바람에 완충지대가 줄고 지반이 약해져 대형 산사태를 예고하고 있었다.

위험요인이 가득한 산에 생태공원을 조성한다며 정상까지 목재계단을 설치하고 인공호수와 인공계곡을 만들어 물길을 바꿨다. 넓혀진 등산로는 빗물과 토사를 마을로 실어 나르는 수로(水路) 노릇을 했다. 강남순환도로는 가뜩이나 지반이 불안정한 산을 통과하도록 설계됐다. 주민들은 지난해 태풍으로 뽑힌 나무더미를 이번 산사태가 난 지점에 방치한 탓에 피해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산사태 이튿날인 28일 오전 현장을 찾았을 때 주택 지붕 위에 자동차가 널브러져 있고, 새로 지은 고층 아파트는 폐허로 변해 있었다. 생태공원으로 이어진 형촌길은 흉측하게 허물어졌다. 하지만 불과 50m 옆 산속 오솔길로 연결된 성촌길은 말끔했다. 자연에 손을 대는 것이 불가피하다면 지질조사와 안전조치가 선행돼야 한다.

기후변화로 강수량과 집중호우 빈도가 급증하는 우리나라에선 언제라도 제2, 제3의 우면산 참사가 빚어질 수 있다. 2006∼2009년 경사면 재해 위험을 조사한 서울시립대 이수곤 교수는 “서울 10만 곳, 전국 100만 곳에 산사태 가능성이 있지만 아무런 대책이 없는 실정”이라고 진단했다. 전국 절개지에 대한 정밀한 점검과 산사태 예방대책 수립에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