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 승강제 도입과 2부 리그 신설 추진, 학원축구의 주말 리그제 운영, 선수들의 적극적인 해외 진출….
한국축구는 2002년 한일월드컵 이후 10년 동안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그래도 안정적인 발전을 이뤄냈다. 그 발전의 출발점은 2002년 한일월드컵이다. 한일월드컵은 단순히 4강 신화만 쓴 것이 아니다. 한국이 월드컵 개최를 통해 세계 축구의 흐름을 따르게 된 것도 큰 수확이다.
한일월드컵 4강 주역들은 2002년을 기점으로 한국축구의 선진화가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홍명보 올림픽대표팀 감독은 “경기장 건설 등을 통해 인프라가 많이 발전됐다”고 평가했다. 포항의 사령탑인 황선홍 감독은 “구단 운영이나 선수단 관리 등 여러 측면에서 봤을 때 프로 클럽들이 큰 발전을 이뤘다”고 말했다.
축구 인프라가 건설되면서 프로 클럽이 활성화되고 선진 축구 시스템을 도입하게 된 것이다. 월드컵 이전까지 한국축구의 현실은 암울했다. 변변한 잔디 구장이 없어 학원 선수들은 물론 클럽 선수들도 맨땅에서 경기를 치러야 했다. 잘 짜여진 훈련 프로그램이나 일정 없이 매사가 주먹구구식이었다. 인천 공격수 설기현은 “히딩크 감독님께서 선수들에게 막 뛰어다니지 말라고 했다. 선수들이 열심히 하는데, 경기를 어떻게 풀어나가야 하는지 알지 못했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당시 태극전사들은 전술이나 경기 운영 방식을 이해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선수 연령 대에 따른 유스 팀과 전임 코치제가 활성화되면서 체계적인 교육을 받고 있다.
선진 시스템이 도입되고 제대로 된 훈련이 이뤄지면서 한일월드컵을 보고 자란 ‘월드컵 키즈’들이 급성장했다. 해외에서 활약하고 있는 이청용, 기성용, 구자철 등이 대표적인 케이스다. 박지성, 이영표, 설기현 등이 해외에서 성공적인 시즌을 보내면서 한국 축구를 바라보는 해외의 인식이 바뀌었다. 유망주들이 적극적으로 해외에 진출하게 됐고 경기력과 자심감 상승으로 이어졌다.
차두리(셀틱)는 “월드컵 이전에는 선수들의 경험이 부족해 해외 팀과의 중요한 경기에서 100% 실력 발휘를 하지 못 했다. 그러나 지금은 많이 달라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