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장 공모제의 실효성을 둘러싼 논란은 현 정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정권 초기부터 ‘혁신’을 기치로 내걸고 ‘낙하산 인사를 뿌리 뽑겠다’고 공언했던 노무현 정부에서도 내정자를 미리 정해놓고 형식적으로만 공모를 운영한다는 비판이 줄기차게 제기됐다.
동아일보가 2007년 3월 당시 연봉 1억 원 이상인 공공기관장과 감사 239명을 조사한 결과 기관장은 53.8%가 정치권이나 공무원 출신이었고 민간 출신 전문가는 37.0%에 불과했다. 공공기관의 ‘2인자’인 감사의 낙하산 인사는 더욱 심각해 87.9%가 정치인, 공무원 출신이었다. 이들 상당수는 공모제를 통해 임명됐다.
노무현 정부에서는 특히 정권 초기에 ‘공무원 출신 낙하산 인사’ 차단에 집중하면서 관료 출신 기관장, 감사 수는 김대중 정부 때보다 다소 줄었지만 정권 창출에 공을 세운 청와대나 옛 열린우리당(현 민주통합당) 출신 인사들이 대거 공공기관장과 감사로 진출했다. 또 공공기관에 진출한 민간 출신 전문가들 역시 상당수는 노무현 정부를 지지하는 사회단체 출신이어서 소위 ‘코드 인사’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공모제를 방패막이로 한 코드 인사가 공공기관의 방만 경영으로 이어졌다는 비판도 적지 않았다. 노무현 정부 5년(2003∼2007년) 동안 전체 공기업의 부채비율은 83%에서 109%로 크게 악화됐다. 같은 기간 공공기관장의 평균 연봉은 2억4533만 원에서 3억602만 원으로 24.7% 올랐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