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대선후보들은 각자 ‘방법론’은 달라도 모두 차기 정부에서 조세부담률(국내총생산 대비 조세의 비중)을 지금보다 높이겠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누가 대통령이 돼도 국민의 세금(稅金)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각 당이 구상하는 조세부담률의 증가 속도는 엇비슷하다. 김종인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은 “현재 19%인 조세부담률을 21%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통합당도 8월에 발표한 자체 세제개편안에서 “조세개혁 과제를 모두 달성하면 조세부담률이 2017년 21.6%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무소속 안철수 후보는 구체적 수치를 내놓지 않았지만 “우리의 조세부담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보다 낮다”며 어느 정도 높이겠다는 의견을 밝혔다.
정부는 고령화 및 복지지출의 확대 추세를 감안했을 때 향후 조세부담률이 자연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중기 재정전망에서 조세부담률이 내년 19.8%, 2014년 20.2%, 2015년 20.4%, 2016년 20.5% 등으로 매년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과도한 복지 확대로 증가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지는 건 경계해야 한다는 게 정부의 생각이다.
OECD 회원국의 조세부담률 평균치는 2009년 기준 24.6%로 한국보다 5%포인트가량 높다. 한국의 조세부담률은 복지 선진국인 유럽 국가들보다 낮지만 일본(15.9%) 대만(12.3%) 등 주변국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