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대선 단일화 살펴보니…

  • 동아일보
  • 입력 2012년 11월 17일 03시 00분


1997년 DJP연합, 2002년 노무현-정몽준…이종교배는 성공
1987년 YS - DJ, 2007년 정동영-문국현…동종교배는 실패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후보의 단일화 과정이 순탄치 않은 것은 역대 대선의 단일화-연대 사례를 살펴봐도 이해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세력이나 지지 기반, 정치적 배경, 가치가 다른 성향의 후보끼리는 의외로 손잡기에 성공한 경우가 많았지만 비슷한 세력 간이나 지지 기반과 가치가 겹치는 후보끼리는 오히려 단일화가 어려웠던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생물학 용어를 빌리면 대선에서는 이종(異種)·잡종교배보다 동종·근친교배가 더 어려웠다는 것이다.

1987년 대선 당시 오랜 민주화운동 동지이자 정통 야당인 옛 신민당에서 한솥밥을 먹었던 김영삼-김대중 후보는 결국 독자 출마를 강행했고 대선에서 패했다. 2007년 대선에서 당시 범여권의 정동영 문국현 후보도 단일화에 실패하고 정권을 넘겨줬다. 당시 보수진영도 이명박 후보를 당선시키기는 했지만 이회창 후보의 독자 출마를 결국 막지 못해 보수성향 표가 분산되는 위기를 맞았다.

반면 1992년 대선을 앞둔 1990년 신군부세력의 후예인 노태우 대통령의 민주정의당과 민주화세력인 김영삼 총재의 통일민주당, 박정희 정권의 계승자인 김종필 총재의 공화당이 전격적으로 합당했다. 3당 합당으로 탄생한 민주자유당의 김영삼 후보가 결국 집권에 성공했다.

1997년에는 정반대의 정치적 행보를 걸어온 새정치국민회의의 김대중 총재와 자유민주연합의 김종필 총재가 내각제 개헌 추진을 매개로 1년이 넘는 논의 끝에 DJP연합에 성공해 공동정부를 탄생시켰다. 2002년 대선에서도 고졸의 인권변호사 출신인 민주당 노무현 후보와 대기업 총수인 정몽준 후보가 극적인 단일화에 성공했다. 우여곡절 끝에 대선 전날 정 후보가 지지를 철회하는 파동을 겪기도 했지만 노 후보는 승리했다.

대선 정국에서 동질적인 세력(후보) 간의 제휴가 더 어려운 이유에 대해 명지대 김형준 교수(정치학)는 “지지계층이 중첩되면서 주도권 싸움이 더 치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이질적 세력이 뭉치는 것에 비해 동질적인 단일화는 효과도 떨어진다”고 분석했다. 처음부터 단일화가 기정사실처럼 인식돼 있는 상황에서 단일화가 지연될 경우 국민에게 지루함과 피로감만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김기현 기자 kimkih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