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80클럽, 앞으로 5년에 달렸다]<2>초라한 한국 서비스업… 업체당 종사자 3.2명

  • Array
  • 입력 2013년 1월 4일 03시 00분


美 16.1-英 8.9명과 큰 격차… 영세 자영업 위주 성장 때문


서비스업은 이미 양적으로는 한국경제의 주류(主流) 위치에 올라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서비스업 전체 매출(2011년 기준)은 1395조9000억 원, 종사자 수는 938만2000명에 이른다. 10년 전인 2001년과 비교해 종사자 수는 3배로, 매출은 배 이상 늘었다. 매출 10억 원당 고용을 얼마나 창출하는지를 측정하는 취업유발계수에서 서비스업은 12명으로 제조업 평균(6.7명)의 배에 가깝다. 지난해 싸이의 ‘강남스타일’ 신드롬이 전 세계를 휩쓸면서 한국에 호감을 갖기 시작한 외국인들이 한국의 다른 음악, 영화, 음식을 접하거나 한국으로 여행을 오는 것까지 감안할 경우 파급효과는 상상을 초월한다.

하지만 서비스업의 경쟁력은 아직 제조업과 큰 격차를 보인다. 서비스 산업에서 그나마 낫다는 콘텐츠 산업의 2011년 총 수출액은 41억6000만 달러(약 4조4096억 원)로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75%에 불과했다. 지난해 1∼11월에 363억 달러의 상품수지 흑자를 거두는 동안 서비스수지는 고작 26억 달러 흑자에 머물렀다.

‘서비스업=질 낮은 경제’라는 등식도 여전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사업체당 종사자 규모는 한국이 3.2명으로 미국의 16.1명에 비해서는 물론이고 영국(8.9명) 독일(7.5명) 등에 비해서도 영세했다. 총 586만 명에 달하는 자영업자 대부분이 도소매, 숙박, 음식업 등 영세 서비스업에 몰려 있다보니 나타나는 현실이다.

관광을 하고 싶어도 호텔, 리조트를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라 제주도 대신 동남아시아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게 한국의 낙후한 서비스 산업의 현실이다. 정부가 유흥주점 없는 호텔의 학교 근처 건립을 허용하는 등 일부 규제를 풀고 있지만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자연경관보전지구 등 수많은 규제가 여전히 숙박시설 건립을 가로막고 있다. 지난해 외국인 관광객 1000만 명 시대가 열렸지만 이들 중 80%가 서울에만 머물다가 돌아갔고 관광코스도 고궁, 명동, 백화점 등으로 한정돼 ‘다시 찾고 싶은 곳’이라는 인상을 주지 못하고 있다.

조호정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기술력을 요구하지 않은 저부가가치 분야에서 양적 팽창만 이뤄지다 보니 생산성 제고가 정체돼 서비스산업 기반 전체가 위협받고 있다”며 “고부가가치 분야인 의료, MICE산업, 관광벤처 등을 육성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

▽팀장
박중현 경제부 차장

▽팀원
김유영 이상훈 문병기 황형준 유성열 경제부 기자, 박형준 도쿄 특파원
현대경제연구원 공동기획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