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정성희]‘직장의 신’과 비정규직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4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KBS 월화 드라마 ‘직장의 신’은 2007년 방영된 일본 드라마 ‘파견의 품격’을 리메이크한 작품이다. 슈퍼갑 계약직 사원 ‘미스 김’과 회사를 자신과 동일시하는 정규직 사원 ‘장규직’을 비롯해 직장인들이 겪는 회사 내 갈등과 애환을 코믹하게 그려가고 있다. 김혜수가 분한 미스 김은 자격증만 124개를 가진 만능사원이지만 정규직 제안을 단칼에 거절하고 “노예는 되고 싶지 않다”며 자발적으로 비정규직에 남아있는 인물이다.

▷드라마에는 ‘88만 원 세대’를 상징하는 정주리도 등장한다. 어리바리한 초짜 직장인인 그는 매일같이 회사에서 크고 작은 사고를 치지만 정규직이 되기 위해 동료들의 담배 심부름이나 커피 심부름까지 마다하지 않는다. 드라마는 비정규직의 설움을 과장되게 묘사하고 있지만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갈등은 엄연한 현실이다. 자동차 조립라인에서도 정규직 근로자와 협력업체 파견 근로자가 일하는 곳은 분위기부터가 생판 다르다. 학교에서도 교사와 기간제 교사는 하늘과 땅 차이다.

▷실적 경쟁에 시달리던 금융사 인턴직원이 자신의 원룸에서 자살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인턴, 원룸, 자살이란 키워드가 청년세대의 현실을 아프게 상징한다. 자살한 인턴직원은 올 1월 D금융사의 ‘핵심 인재 양성 프로그램 인턴십 과정’에 합격해 월급 100만 원을 받으며 금융상품을 판매했다. 회사는 인턴 기간 내 성과 우수자를 정규직으로 발탁한다고 했다. 인턴에게 정규직 채용만큼 강렬한 유혹은 없다. 이 인턴은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았을 것이다. 그런데도 회사의 냉담한 태도를 보면 인턴은 죽어서도 차별 받는 것 같다.

▷어제 고용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비정규직의 시간당 임금은 정규직의 63.6%였다. 비정규직의 설움은 하는 일이 같은데 급여와 복지혜택이 다르다는 데 그치지 않는다. 많은 이들이 해고 불안과 함께 인간적 모멸감을 느끼며 살아간다. 그런 상황에서 정규직을 거부한 미스 김이야말로 ‘직장의 신’으로서 비정규직에게 카타르시스를 제공한다. 현실에는 미스 김이 절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게 비극이긴 하지만.

정성희 논설위원 shchung@donga.com
#정규직#계약직#88만 원 세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