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동 꺼! 반칙운전/4부]<3>여성들의 ‘위험한 운전’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6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11cm 힐 신고 운전 소주 3잔 마신 격… 여성 ‘위험 운전’ 사례 실험해보니

“여자가 운전할 때 복장을 규제하자는 거냐?”

2013년 5월 13일 동아미디어센터 14층 회의실 ‘시동 꺼! 반칙운전’ 4부 여성운전자 기획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나온 말이다. 김준일 기자를 바라보며 주애진 기자(여)가 어이없다는 표정으로 말했다. 김 기자가 “하이힐과 미니스커트가 안전운전에 방해가 된다는 얘기가 있으니 한번 주행 실험을 해보자”고 제안한 뒤였다. 김 기자는 통계표를 집어 들었다. “보세요. 전체 교통사고 중 여성운전자가 낸 사고의 비율은 1990년에 2.2%였는데 지난해에는 16.6%까지 올랐어요. 거의 8배예요.”

주 기자가 반박했다. “여성운전자 면허 소지율을 먼저 봐야죠. 전체 면허 소지자 중 여성 비율이 같은 기간 12%에서 40%로 늘었어요. 여성운전자가 늘었으니 사고도 느는 게 당연하죠.”

김 기자는 물러서지 않았다. “면허 소지자가 늘었다고 사고까지 같이 늘어나는 게 좋은 건 아니잖아요. 여성이 좀 더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게 하는 게 좋지 않을까요.”

취재팀장인 이은택 기자가 끼어들었다. “하이힐 신고 운전하는 게 정말 사고 위험을 높이는지 먼저 실험을 해보자.”

취재팀은 5월 29일 경북 상주 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교육센터를 찾았다. 운전 경력 5년의 자칭 ‘베스트 드라이버’ 채널A 윤정혜 기자(24·여)가 운전을 맡았다. 공단의 교육개발처 하승우 교수가 실험을 설계했다.

○ 하이힐과 미니스커트가 나쁜가?

첫 번째 주행실험 코스는 200m 길이의 에스(S)자. 삼각뿔 모양의 도로안전용품이 10m 간격으로 놓여 있었다. 스키선수가 장애물을 옆으로 돌아 내려가듯 이 코스를 S자로 도는 것. 일명 슬라럼(Slalom·회전경기) 실험이었다. 면바지와 낮은 구두의 편안한 복장을 한 윤 기자는 “운전 실력 제대로 보여 줄게요”라며 자신있는 표정이었다.

윤 기자는 하 교수의 강의로 30분 동안 연습했다. 연습 뒤 첫 번째 실험. 윤 기자는 능숙한 솜씨로 핸들과 브레이크를 조작했다.

[시동 꺼! 반칙운전] 여성들의 ‘위험한 운전’
▼ 급제동때 횡단보도 절반 침범… 하이힐, 진짜 ‘킬’힐 될수도 ▼

시속 30km의 속도를 유지하며 S자 코스 200m를 28.2초에 주파했다. 이어진 실험에서는 26.5초, 25.4초를 기록했다. 실험 중 넘어진 삼각뿔은 없었다. 하 교수는 “이 정도면 웬만한 남자보다 좋은 기록”이라고 말했다.

윤 기자는 굽 높이가 11cm인 하이힐로 갈아 신었다. 옷도 면바지 대신 무릎 위까지 올라오는 원피스로 갈아입었다. 똑같은 운전자와 차량인데도 운전성적은 딴판이었다. 조금 전까지는 삼각뿔에 붙어 회전했던 차가 이번에는 회전반경이 커졌다. 주행 11초 만에 오른쪽으로 회전하다 삼각뿔 하나를 쓰러뜨렸다. 그 다음 회전에서는 연거푸 삼각뿔 두 개가 튕겨나갔다. 주행 기록은 32.8초. 같은 방식으로 진행한 두 번째 실험은 32초였다.

실험을 마친 윤 기자는 “발이 붕 떠 있는 느낌이라 어느 정도로 페달을 밟은 것인지 잘 느껴지지 않았고 발바닥 감각의 70∼80%가 없어진 느낌이었다”며 “짧은 치마를 입다 보니 무의식적으로 다리를 모으게 되면서 오른쪽 발 움직임이 편치 않았다”고 덧붙였다.

하 교수는 “이 정도면 소주 3잔을 마시고 운전한 것과 마찬가지 상황”이라며 “돌발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선 체중을 싣는 왼쪽 발이 바닥을 견고하게 딛고 있어야 한다. 하이힐은 접촉 면적을 좁게 만들어 왼쪽 발이 바닥을 지탱하는 힘을 약하게 한다. 오른발은 순간적으로 페달을 제대로 밟지 못할 위험이 있고 발바닥 감각을 무디게 만든다”고 했다. 그는 “어쩔 수 없이 하이힐이 필요한 여성도 운전 중 신을 굽 낮은 신발을 차 안에 두는 게 좋다”고 덧붙였다.

급제동 실험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윤 기자가 굽 낮은 구두와 면바지로 복장을 바꿨다. 시속 60km로 달리다 급제동을 했다. 제동거리는 32.4m. 2차 실험은 32.9m였다. 이어 하이힐에 원피스를 입고 한 실험에선 두 번 모두 36.4m가 나왔다. 학습효과로 제동거리는 더 줄어야 했지만 오히려 늘어났다. 늘어난 거리는 도심 횡단보도를 2분의 1이나 침범할 수 있는 수준이다.

○ 파워봉

다시 슬랄럼 코스로 와 ‘파워봉’ 실험을 했다. 파워봉은 핸들을 돌리기 쉽게 만들어준다는 이유로 여성들이 운전대에 많이 붙인다. 굽 낮은 신발로 갈아 신은 윤 기자가 같은 방식으로 실험해 보니 32.3초를 찍었다. 쓰러진 삼각뿔은 없었다. 윤 기자는 “파워봉으로 핸들을 돌릴 때 힘이 덜 드는 건 맞다”며 “하지만 너무 쉽게 돌아가다 보니 몇 바퀴 돌렸는지 알기 힘들다”고 했다. 하 교수는 “파워봉은 팔을 자연스럽게 움직이기 힘든 장애인을 위해 만든 장치로 한국에서 유독 여성 운전자들이 많이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 운전자세

세 번째 실험은 운전자세. 윤 기자는 손을 운전대 위로 모으고 몸을 앞으로 약 20도 숙였다. 운전석 의자를 앞으로 바짝 당겼다. 그만큼 시야각도 줄어들었다. 여성 초보운전자들이 ‘운전에 집중한다’며 흔히 하는 잘못된 습관이다. ‘김 여사’를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모습이기도 하다. 이번엔 출발 14초 만에 삼각뿔 5개가 연거푸 쓰러졌다.
실험에 나선 윤정혜 채널A 기자가 운전대를 잡고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모습. 운전 중 문자메시지를 보내면 평균 4.6초 동안 시선을 빼앗기게 된다. 김준일 기자 jikim@donga.com
실험에 나선 윤정혜 채널A 기자가 운전대를 잡고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모습. 운전 중 문자메시지를 보내면 평균 4.6초 동안 시선을 빼앗기게 된다. 김준일 기자 jikim@donga.com
○ 운전 중 문자

윤 기자는 교통안전교육센터 내 운전시뮬레이터실로 향했다. 경기 용인시 도심을 재현한 가상도로가 펼쳐졌다. 윤 기자는 시뮬레이터에 앉아 시속 60km로 운전을 시작했다. 윤 기자의 스마트폰에서 문자 도착 알림음이 들렸다. 윤 기자가 무심코 문자를 확인하는 순간 오른쪽에서 갑자기 등장한 보행자와 충돌할 뻔했다. ‘휴∼.’ 윤 기자는 다시 운전대를 잡고 출발했다. 빨간 신호에 정지할 때마다 문자 쓰기에 바빴다. 운전 중에도 한 손은 운전을, 다른 한 손은 문자메시지 작성 중이었다. 그 순간. 우회전하던 윤 기자는 제때 핸들을 돌리지 못해 중앙선을 넘었다. 반대편 직진차량은 그대로 윤 기자의 차를 들이받았다. 도로를 보여주던 시뮬레이터 화면은 빨간 경고 표시와 깨진 유리창으로 변했다.

교통안전공단이 올해 3월 운전자 537명을 대상으로 한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실태 조사에 따르면 운전 중 문자메시지 발송 경험이 있는 여성은 22.3%에 달했다. 남성보다 5%포인트가량 많은 수치다. 미국 버지니아공대 교통연구소 연구 결과 운전 중 문자메시지를 보내면 평상시 대비 사고 위험성이 23.2%가 늘어난다. 문자메시지를 보내거나 받을 때 평균 4.6초를 전방에서 눈을 떼는데 이는 90km로 달렸을 때 축구장 길이(110m)를 눈감고 주행하는 것과 같다.

애초에는 파워봉을 실험에 쓴 다음 자기 차에 붙일 요량이었던 김 기자. 하지만 실험이 끝나자 조용히 쓰레기통에 버리고 서울로 향했다.

김준일 기자 jikim@donga.com


[채널A 영상]운전자 50%, 운전 중 통화…20%는 문자메시지도
[채널A 영상]불법 프로그램 만들어 잠금해제…운전 중 DMB 금지 ‘코웃음’


#여성운전자#복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