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체제 2년]
재정난에도 특권층은 초호화 생활… 마사지 한번에 70달러 등 펑펑
북한이 김정은 정권 유지를 위해 ‘지도층 달래기’에 적극 나서면서 소수 특권층의 과도한 사치가 만연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재정난을 겪고 있는 북한 당국이 특권층의 부정부패를 눈감아주고 오히려 이들의 과소비를 방치하면서 북한 사회의 빈부격차가 더욱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7일 북한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에서 10만 달러(약 1억 원) 이상을 가진 부유층은 북한 전체 인구(2500만 명)의 약 1%인 25만 명으로 추산된다. 이들은 당정군의 고위 간부들로 대부분 평양에서 198∼231m²(약 60∼70평)의 아파트에 거주하면서 외제차와 해외명품을 쓰는 등 남한 사회 못지않은 호화생활을 누리고 있다. 이 소식통은 “이들은 액정표시장치(LCD) TV 등 한국의 삼성 LG 가전제품을 갖추고, 집안에 사우나 시설까지 있다”며 “개당 1000달러(약 106만 원)가 넘는 수입 화장실 변기까지 설치한 집도 있다”고 전했다.
최근 들어 특권층의 씀씀이가 더욱 커졌다는 게 최근 북한을 다녀온 관계자들의 공통된 증언이다. 이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평양의 특권층은 점심 한 끼 식사에 500달러씩 지불하며, 대동강변에 있는 커피숍에서 핸드드립 커피와 와플을 즐긴다. 평양의 대학생들은 한 대에 200∼300달러인 스마트폰을 사기 위해 여느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판매점 앞에 줄을 선다고 한다.
북한 당국도 특권층의 소비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대형 쇼핑센터와 고급 레스토랑을 잇달아 개설하고 있다. 5월 초 평양 대동강변에 문을 연 상업시설 ‘해당화관’은 사우나 이용료가 15달러, 마사지 이용료는 45∼70달러이다. 외화로 요금을 받고 있으나 이용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고 대북 소식통들은 설명했다.
이러한 행태는 재정난을 극복하기 위해 민간이 보유한 자금을 양성화하려는 북한의 정책과 맞물려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북한 당국은 올해부터 기업소와 주민들이 주택을 짓거나 판매하는 것을 허용하고 기업들의 외화 사용도 공식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북한 내 주택건설 경기가 상승했으며, 자금난을 겪는 관영 상점이나 식당의 경우에는 개인이 직접 투자해 운영하는 곳도 많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