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 등을 뛰어넘어 세계 무역 5강에 안착하려면 서비스산업의 수출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교육 의료 법률 등의 분야에서 해외 진출 사례가 더욱 늘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서비스산업 수출액이 세계 서비스 수출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2.5%로 상품 수출액 비중(3.0%)에 미치지 못했다. 통신 금융 교육 보건 등 고(高)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식서비스산업의 규모는 더 작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지식서비스산업 비중은 26.1%(2010년 기준)로 같은 해 미국(36.3%) 스웨덴(33.4%) 프랑스(32.4%) 등에 비해 낮았다.
홍지상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서비스산업은 경공업이나 중화학공업보다 상대적으로 취업 유발 효과가 크다”며 “서비스 수출을 확대하면 무역규모를 늘리는 동시에 일자리 창출 등 국민경제 파급 효과도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정부의 창조경제 정책을 발판 삼아 글로벌 헬스케어, 디지털 콘텐츠 등 창의적인 서비스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서비스산업을 둘러싼 규제 해소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같은 맥락이다. 외국인 환자 유치를 위한 영리병원 설립 등을 허용해 경쟁력을 높이자는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열린 국민경제자문회의에서 “창조경제의 핵심인 융·복합도 서비스산업의 규제가 풀릴 때 더욱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오상봉 국제무역연구원장은 “한국은 정보기술(IT) 분야에 특히 강점을 지닌 만큼 이를 활용한 새로운 융합 서비스를 발굴하는 등 서비스산업을 새 수출 동력으로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