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어제 수석비서관 4명을 교체했다. 관료 출신이 주축을 이뤘던 1, 2기 청와대 참모진과 달리 이번에는 측근들을 불러들여 친정체제를 강화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국가개조와 경제혁신 3개년 계획 등 국정과제를 힘 있게 추진하기 위한 것”이라고 개편 배경을 설명했다.
여성으로는 첫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에 내정된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은 대통령선거 당시 선거대책위원회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대변인을 맡아 박 대통령과 가까운 거리에서 손발을 맞춘 인물이다. 당(黨)-정(政)-청(靑) 소통과 국회와의 유기적 협조 관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국정 성과를 내야 할 책무가 조 신임 수석에게 주어졌다.
경제수석에 내정된 안종범 의원은 박 대통령의 복지-경제 대선공약을 설계한 정책 브레인이다. 경제혁신 3개년 계획 등 박근혜 정부의 경제정책이 본궤도에 오를 수 있도록 속도를 내야 한다. 교육문화수석에 내정된 송광용 전 서울교육대 총장은 정수장학회 이사로 박 대통령과 인연을 맺었다. 친(親)전교조 교육감들이 대거 등장할 교육 현장에서 그의 역할이 주목된다.
민정수석비서관실은 김학준 민원비서관을 빼고는 신임 민정수석 김영한 전 대검 강력부장과 3명의 비서관이 TK(대구·경북)로 채워졌다. 공직 비리와 대통령의 친인척 비리를 담당하는 민정수석실이 특정 지역이나 직역 출신들로만 채워지면 집단사고에 갇힐 우려가 있다. 로펌 출신이 많아서 안대희 전 국무총리 후보자의 ‘황제 전관예우’를 걸러내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고도 이번에는 특정 지역으로 채워진 것은 문제가 있다.
안 전 총리 후보자에 이어 새로 지명된 문창극 후보자 논란까지, 누적된 인사 실패에도 불구하고 청와대 인사위원장을 겸하고 있는 김기춘 비서실장은 이번에 교체되지 않았다. 민정수석은 계속된 인사 검증 실패에 책임을 물어 경질하고도 정작 총책임자인 김 실장을 유지시켰으니 인적 쇄신의 효과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