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만 일해도 7만원” 공사장 찾는 청년들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7월 8일 03시 00분


2013년 20대 9만명 건설현장 알바
“박봉에 시간 뺏기는 알바보다… 짧게 일하고 취업준비 전념”
사업주도 힘좋은 청년층 선호… 60대이상 인부는 갈수록 줄어

수도권 대학을 졸업하고 3년째 취업을 준비해온 A 씨(29)는 최근 건설현장에서 막노동 아르바이트를 시작했다. 일하고 싶을 때마다 일용직으로 언제든지 일할 수 있고 일당(7만 원)도 올해 최저임금(5210원) 기준 일당(하루 8시간 근무 4만1680원)보다 훨씬 많기 때문이다.

A 씨는 “최저임금도 제대로 받지 못하면서 시간도 많이 뺏기는 편의점, PC방 등의 아르바이트와 달리 상대적으로 돈도 많이 벌면서 취업준비도 병행할 수 있다”며 “건설현장에서도 어르신들보다는 신체가 건장한 20대를 선호하는 편이라 일자리를 구하기도 쉬운 편”이라고 말했다.

○ 막노동으로 몰리는 청년들


청년 취업난이 가중되면서 A 씨처럼 건설현장에서 일용직으로 일하는 20대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난 한 해 동안만 약 9만 명의 청년이 3개월 이내의 단기계약직으로 건설현장에서 막노동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7일 건설근로자공제회가 내놓은 ‘퇴직공제 통계연보’에 따르면 퇴직공제에 가입한 건설일용직 근로자 401만 명 중 20대 근로자는 40만9000명(외국인 1만5900명 포함)으로 전체의 10.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공제에 가입한 전체 건설일용직 근로자 10명 중 1명은 20대인 셈이다. 2009년 5.5%에 불과하던 20대 건설일용직 비율은 해마다 1∼2%포인트씩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반면 2009년 16.2%에 이르던 60대 장년층의 비율은 매년 감소해 지난해에는 14.1%까지 떨어져 30대(15.9%)보다 낮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건설현장 유입이 늘고 사업주들도 청년들을 선호하면서 장년층의 건설 일자리가 줄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의 올해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청년층 실업률은 10.9%로 2000년 1월 이후 가장 높았고 5월 청년실업률 역시 8.7%로 작년 동월(7.4%)보다 1.3%포인트 높아졌다.

특히 3개월 미만의 초단기계약 근로자로 범위를 좁히면 20대 청년층 비율은 전체의 14.7%까지 높아졌다. 공제회 조사 결과 지난해 초단기계약을 맺고 하루 이상 일한 일용직 근로자는 총 62만 명으로 약 9만1000명(외국인 5100명 포함)의 20대 청년이 ‘막노동 알바’를 뛴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건설현장의 ‘보통인부’ 비율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보통인부란 특별한 기술 없이 노동을 하는 근로자로 비교적 쉽게 건설업에 진입할 수 있다. 2009년 29.4%였던 보통인부 비율은 지난해 32.7%까지 증가했다. 공제회 관계자는 “건설현장에 들어오는 20대는 대부분 기술 없이 그야말로 막노동을 하는 형태가 많다”며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청년층이 늘면서 보통인부의 비율도 함께 증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퇴직공제 미가입자까지 따지면 더 많아


1년 미만 단기로 근로계약을 하고 일당을 받는 건설일용직 근로자는 건설근로자공제회가 운영하는 퇴직공제사업에 가입할 경우 퇴직금을 받을 수 있다. 임금의 일정 비율을 일정 기간 이상 공제회에 적립한 다음 퇴직할 경우 일시불로 퇴직금을 받는 형태다. 공공기관이 발주하는 공사는 3억 원, 민간공사는 100억 원 이상 사업장에 한해 가입이 가능하고 1년 근무일(252일)을 채우면 약 108만 원의 퇴직금을 받을 수 있다.

이번 통계연보는 건설근로자공제회에 등록된 426만 명(25만 명은 이미 퇴직)의 건설일용직 근로자의 고용 형태를 처음 전수조사한 것으로, 표본조사에 의존하는 통계청 고용동향 등 기존 정부 통계보다 정확도가 높다. 그러나 퇴직공제 가입 기준에 미달하는 사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는 통계에 잡히지 않는다는 한계도 있다.

공제회 관계자는 “빌라, 상가건물 등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까지 포함하면 청년층의 비율은 더 높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유성열 기자 ryu@donga.com
#건설현장 알바#공사장#박봉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