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 재·보궐선거는 ‘앞으로 한국 정치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정치권에 던지고 있다. ‘11-4’ 재·보선 성적표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나타났지만 새정치민주연합에 대한 극도의 실망감에 따른 반사이익이었다는 점에서 새누리당이 환호할 일은 아니다.
동아일보는 1일 정치학자와 전문가 10명에게 이번 재·보선의 의미, 여야가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물었다. 먼저 이들은 참패를 당한 새정치연합에는 “기존의 낡은 틀을 깨라”고 주문했다. 국민에게 책임 있는 ‘대안 정당’이라는 믿음을 줄 수 있도록 변해야 한다는 것이다.
윤평중 한신대 교수는 “새정치연합은 소수 강경파, 운동권의 논리에 빠져 갈수록 민생에서 멀어지고 있다”며 “새누리당도 선거 결과를 국민들이 현 국정운영을 일방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착각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철수 전 공동대표 측과 민주당이 통합한 새정치연합은 ‘새정치’를 높이 내걸었다. 하지만 국민은 새정치가 무엇인지 느끼지 못했다. 계파 갈등 등 고질적인 문제점은 전략공천 파문 속에서 그대로 드러났다. 이현우 서강대 교수는 “국민에게 보여줄 정체성이 없다 보니 대안적 정당으로 인정받을 수 없었다”고 분석했다.
늘 ‘국민의 목소리’를 강조하는 새정치연합이 정작 국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못했다는 쓴소리도 나왔다. 선거 기간 내내 국회 새정치연합 당대표실에는 ‘이대로는 안 됩니다. 국민이 경고해 주십시오’라는 슬로건이 걸려 있었다. 하지만 국민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읽지 못하고 있었다는 얘기다.
새누리당도 민심을 냉정히 읽어야 한다. 호남에서 지역주의의 벽을 허무는 뜻 깊은 승리를 거둔 이정현 의원처럼 ‘진정성’을 보여줄 제2, 제3의 이정현을 계속 충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진장철 강원대 교수는 “요즘을 공감의 시대라고 하는데 이 의원은 주민들과의 공감을 이끌었고, 지역 주민들이 정치개혁을 이뤘다”고 강조했다.
이번 선거에서 싹을 틔운 지역주의 타파를 위해 제도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강원택 서울대 교수는 “지역주의 정당정치 변화의 가능성이 보인 만큼 중선거구제 등 제도개편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