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에서/강수진]읽지 않아도 괜찮아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9월 25일 03시 00분


코멘트
강수진 문화부장
강수진 문화부장
누구나 읽어야 한다고 말하면서, 사실은 아무도 읽지 않는 책.

촌철살인으로 유명했던 마크 트웨인은 이를 ‘고전’이라 불렀다. 어디 고전뿐일까. 책장에 빼꼭한 ‘인테리어 소품’을 볼 때마다 마음 한구석이 뜨끔하다. 이름값 때문에 읽으려다가 결국 못 읽은 책들이다. 그럼에도 최근 한 권이 더 늘었다.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고 있는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의 ‘21세기 자본’이다.

‘21세기 자본’은 국내에서 출간되자마자 벌써 4만 권 가까이 팔렸다. 덩달아서 ‘21세기 자본 바로 읽기’나 ‘위대한 탈출’처럼 피케티 이론에 반대되는 책들도 잘 나간다고 한다. 심지어 마르크스의 ‘자본론’까지 새삼스레 조명 받으면서 ‘21세기와 자본론’ ‘자본론 공부’ ‘맑스를 읽다’ 같은 책들도 쏟아졌다. 이쯤 되면 피케티 신드롬이라는 말이 과장은 아닌 것 같다.

경제서임에도 제인 오스틴부터 오노레 드 발자크까지 풍부한 문학 작품을 사례로 인용해 쉽게 썼다는데, 쉽게 읽히진 않는다. 책 두께도 목침 수준이다. 나 같은 독자를 배려해서인지 한국에서만 친절하게 해제를 담은 30쪽 분량의 별책 부록 ‘피케티 현상 어떻게 볼 것인가?’를 출판사가 자체 제작해 책에 끼워 준다.

한 시간 만에 ‘21세기 자본’을 책장에 곱게 꽂아 놨다. 스스로를 위로하며 떠올린 건 얼마 전 월스트리트저널에 실린 글이었다. 주석 빼고 본문만 700쪽에 달하는 ‘21세기 자본’을 과연 독자들이 실제로 몇 페이지나 읽었는지를 분석한 내용이었는데 놀랍게도(또는 당연하게도!) 26쪽에서 멈춘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에 사용된 ‘호킹지수(Hawking Index·HI)’는 간단히 말해서 독자가 어떤 책을 얼마나 읽었는지를 %로 환산해 보여주는 지수다. 수치가 낮을수록 책을 끝까지 다 읽지 않았다는 걸 뜻한다. ‘21세기 자본’의 호킹지수는 2.6%였다.

안 읽히는 책의 대명사인 ‘시간의 역사’를 쓴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의 이름에서 지수 명칭을 따왔는데, ‘시간의 역사’(6.6%)와는 비교도 안 되게 안 읽힌 셈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앞으로는 호킹지수 대신 피케티지수라고 불러야 할지도 모른다”고 했다.

물론 이 신문도 밝혔듯 아마존 전자책의 하이라이트 기능을 이용해 분석하는 호킹지수는 재미삼아 참고만 할 뿐 정교한 과학적 지수는 결코 아니다. 하지만 꽤 공감이 갔다. 워싱턴포스트도 올 7월 호킹지수를 인용한 비슷한 분석 기사를 실었는데 당시 화제의 신간이었던 힐러리 클린턴의 자서전 ‘힘든 선택들’이 사놓고도 끝까지 읽지 않은 책 1위(호킹지수 2.0%)로 꼽혔다.

경험상으로 봐도 반짝 화제로 뜬 베스트셀러나 폼 잡는 책일수록 호킹지수가 낮을 가능성이 크다. ‘다들 읽는다니까 나도…’, ‘이런 책쯤은 읽어줘야’ 하는 마음으로 샀다가 결국은 안 읽게 되는 책들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13 국민독서 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이 1년 동안 읽는 책은 9.2권이었다. 평균 잡아 한 달에 한 권조차 안 읽는다는 얘긴데 끝까지 다 읽지 않는 호킹지수까지 적용하면 제대로 읽은 책은 더 적을 것 같다.

독서의 계절이라는 가을이다. 읽어야만 할 것 같은 책은 안 읽어도 괜찮다. 남들이 다 읽는다는 책도 알고 보면 남들도 다 읽지는 않는다. 그냥 내 마음에 드는 책을 한 권 골라 읽어보자, 끝까지.

강수진 문화부장 sjkang@donga.com
#마크 트웨인#21세기 자본#피케티#위대한 탈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