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당은 민족민주혁명당(민혁당) 주사파 세력이 유지된 조직이자 폭력혁명을 여전히 추구하는 단체다. 혁명조직(RO)은 민혁당이 확고히 지도하고 있는 산하 조직이다.”
서울대 법대 82학번으로 북한 주체사상을 정리한 교본 ‘강철서신’의 저자이자 민혁당 창당을 주도했던 김영환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연구위원(51)은 2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민혁당과 통진당의 연관성, 통진당 핵심 인물들의 과거 행적을 강한 어조로 상세히 진술했다. 김 위원은 1989년 북한 노동당에 입당하고 밀입북해 김일성 주석을 만나고 돌아온 뒤 지하 정당인 민혁당을 결성했다가 1999년 구속돼 사상 전향을 했다.
김 위원은 폭력혁명을 표방하던 민혁당의 핵심 주사파 세력과 이념이 통진당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확신했다. 그에 따르면 지나치게 경직된 북한의 현실과 인권 타락, 민중 탄압이 용납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섰다고 판단해 민혁당 해체를 설득했다는 것. 그러나 하영옥 씨 등의 반발이 심해 민혁당 조직은 사실상 마비 상태에 이르렀고 결국 해체됐다. 그 후 이석기 의원 등이 중앙위원장이었던 박모 씨 등을 찾아와 민혁당 활동을 계속하자고 설득했다는 얘기가 들려왔으며, 민혁당 경기남부위원회는 조직을 한 번도 해체하지 않고 유지되고 있다고 확신한다는 게 김 위원의 설명이다.
그는 “주사파 리더로서 오랜 경험에 비춰볼 때 북한의 김일성 유일체제나 3대 세습 문제, 정치범수용소 등 핵심 논제를 회피하는 사람들은 거의 옛날식 생각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김 위원은 북한이 국내 조직에 운영비 조의 자금을 전달했고 이 돈이 진보진영의 선거자금으로 쓰였다는 증언도 했다. “북한 밀입북 때 지원받은 40만 달러 중 일부를 현금화해 하영옥 씨를 통해 김미희 이상규 후보 등을 비롯한 경기 성남, 울산, 서울 구로 지역 (지방의원) 후보들에게 500만 원씩 전달했다. 1996년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1000만 원씩 지원했다.”
김 위원은 통진당 대리인 측이 ‘돈이 실제로 후보들에게 전달됐느냐’고 묻자 “지하당 조직에서 이를 확인할 방법은 없지만 하영옥 씨의 도덕성을 봤을 때 돈이 전달됐다고 확신한다”고 답변했다. 이에 대해 통진당 김미희 의원은 “1995년 당시 지지자들의 소액 후원으로 치러진 지방선거에 대한 명백한 허위 증언과 위증으로 명예가 심각하게 훼손됐다”며 “끝까지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반박했다. 이상규 의원 측도 “김 씨의 일방적인 주장일 뿐이다. 사실이 아닌 것에 대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은 북한이 한국에 합법적 진보정당을 건설하는 데 관심을 보인 것도 결국 폭력적 방식을 통한 정권 탈취가 주목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합법적인 정당을 건설하는 것은 지하당 활동과 대미항쟁을 포기한 게 아니라 민중의 참여를 이끌어내 결국에는 폭력적 방법으로 정권을 탈취하는 데 도움이 될 거라는 생각이었다”고 말했다. 통진당의 자주민주통일 노선에 대해선 “자주 민주 평등은 일반적 보편적 가치지만 ‘자주민주통일’이라는 집합적 표현을 쓰기 시작한 것은 주사파에서 북한의 ‘구국의 소리’ 등 대남방송을 듣게 되면서 일반화됐다”고 말해 주사파와 통진당의 연관성을 거론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