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신임 당 대표 측은 선거 초반에 ‘압도적인 승리’를 목표로 정했다. 당 운영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선 승리하더라도 그 격차를 크게 벌려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압도적 승리는 없었다. 경쟁자인 박지원 의원과의 격차는 불과 3.52%포인트에 불과했다. 개표 직후 현장에서는 “상처뿐인 승리”라는 평가가 나왔다. 이 때문에 문 대표가 당 운영의 주도권을 쥐는 과정은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 다시 확인된 ‘당심-민심 간격’
이번 전당대회 결과는 당심(黨心)과 민심(民心)의 간격을 극명하게 보여줬다. 당초 문 대표 측은 대의원-권리당원-일반 여론조사 3개 지표에서 모두 승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문 대표 측은 대의원 투표에서 2.39%포인트가량 앞섰지만 25만여 명의 권리당원을 대상으로 한 투표에서는 박 의원에게 5.78%포인트 뒤졌다. 여론조사 역시 국민 여론조사에서는 20%포인트가 넘는 격차로 이겼지만 당원 여론조사에서는 1.12%포인트 차로 졌다. 한 당직자는 “친노(친노무현) 진영에 대한 당원들의 반발이 드러난 것”이라고 평가했다.
친노 진영의 이해찬 의원과 비노(비노무현) 진영의 김한길 의원이 맞붙었던 2012년 전대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당시 이 의원은 대의원 투표에서는 뒤졌지만 모바일 투표에서 이겨 0.5%포인트 차로 당 대표에 당선됐다.
○ 文, 선거 막판 ‘총공세’
선거 초반만 해도 당내 최대 계파인 친노 진영의 좌장이자 대중 인지도가 높은 문 대표의 낙승이 예상됐다. 이에 따라 ‘문재인 대세론’이 제기됐지만 결과는 달랐다. 호남을 기반으로 한 박 의원이 문 대표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고 동교동계까지 결집하면서 선거는 초박빙 구도로 진행됐다.
그러자 선거 막판 친노 진영에서는 “이인영을 찍으면 박지원이 된다”는 주장을 펼쳤다. 7일에는 친노 진영이 총동원돼 이 의원을 지지하는 대의원들에 대한 ‘맨투맨 접촉’에 나섰다. 문 대표도 직접 대의원들에게 전화를 걸어 지지를 호소했다. 이 의원 측 관계자는 “친노 진영에서 ‘문 대표가 떨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을 자극해 우리 지지층이 상당 부분 이탈했다”고 성토했다.
문 대표의 ‘정계은퇴 카드’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문 대표는 5일 성명에서 “당 대표가 안 되면 그 다음 제 역할은 없다”고 배수진을 쳤다. 중도 성향의 한 보좌관은 “친노에 부정적인 대의원들이 이 성명으로 상당히 흔들렸다”며 “대선 후보까지 지낸 당의 거물급 인사를 이대로 버릴 수 없다는 심리가 생겼다”고 분석했다
○ ‘룰의 전쟁’이 승부 갈랐나
일반 여론조사에서 ‘지지 후보 없음’을 유효표로 인정할 것인지를 두고 선거 막바지 문, 박 의원 측은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당시 양측 모두 “유효표 인정 여부에 따라 최종 득표율에서 3∼5%포인트 정도 변수가 있다”고 보고 총공세를 펼쳤다. 박 의원은 결과 발표 직후 룰 변경과 관련해 “의미가 없다”며 “한 사람의 당원으로 문 대표가 잘하시길 바란다”며 자리를 떴다. 박 의원 측 관계자는 “여론조사에서 지지 후보 없음을 반영해도 결과가 뒤집히진 않았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 당직자는 “문 대표 측이 ‘룰의 전쟁’에서 이긴 게 최종 승리로 이어진 것 아니냐”고 평가했다. 당 전당대회준비위원회가 문 대표 측의 손을 들어줌으로써 공방은 일단락됐지만 문 대표가 박 의원에게 근소한 차로 이기면서 ‘룰의 전쟁’의 불씨는 완전히 꺼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 문재인 대표와 새정치聯 이끌 최고위원 5인 ▼
○ 주승용 최고위원 (16.29% 득표) 유일 호남출신… 非盧 지지받아
최고위원 후보 가운데 유일한 호남 출신. 1991년 도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해 군수, 시장을 두루 거친 3선 의원이다. 김한길 전 공동대표 등 비노(비노무현) 진영의 지지를 받으며 최고위원 선거에서 1위를 차지했다. △전남 고흥(63) △광주 제일고, 성균관대 전자공학과 △전남 여천군수, 여수시장 △새정치민주연합 사무총장 △17∼19대 국회의원(전남 여수을)
○ 정청래 최고위원 (14.74% 득표) ‘공격수’ 자처한 친노 강경파
당의 대표적인 ‘친노(친노무현)
강경파’로 꼽힌다. 이번 최고위원 선거에서도 (정부여당에 대한) ‘최전방 공격수’를 자처하며 ‘야성 회복’을 구호로 내세웠다.
지난해에는 세월호특별법 제정 등을 요구하며 24일간 단식했다. △충남 금산(50) △대전 보문고, 건국대 산업공학과 △건국대
총학생회장 △민주통합당 인터넷소통위원회 위원장 △17, 19대 국회의원(서울 마포을)
○ 전병헌 최고위원 (14.33% 득표) ‘무상시리즈’ 주도한 전략통
당내에서 ‘전략통’으로 꼽힌다. 2011년
정책위의장으로 ‘3+1(무상급식, 무상의료, 무상보육+반값등록금)’ 전략을 수립해 여당과의 복지 경쟁을 주도했다. 1987년
평민당에 입당해 대통령국정상황실장, 국정홍보처 차장 등 당정청 요직을 두루 거쳤다. △충남 홍성(57) △휘문고,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대통령국정상황실장 △민주당 정책위의장, 원내대표 △17∼19대 국회의원(서울 동작갑) ○ 오영식 최고위원 (12.49% 득표) 전대협 의장 출신 ‘486’ 대표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2기
의장 출신으로 2000년 새천년민주당에 우상호 의원, 임종석 전 의원과 함께 ‘젊은 피’로 입당했다. 이번 최고위원 선거에서
486 진영과 범친노(범친노무현)인 정세균계의 지지를 동시에 받았다. △서울(48) △양정고, 고려대 법대 △전대협 2기 의장
△새정치민주연합 서울시당위원장 △16·17·19대 국회의원(서울 강북갑) ○ 유승희 최고위원 (11.31% 득표) 노동운동가 출신 ‘女전사’
이번 전당대회에 출마한 유일한 여성
의원이다. 대학 시절 학생운동에 이어 노동운동을 하다가 경기 광명시의원으로 첫발을 내디뎠다. 당내에선 민평련계로 분류된다. 여야
대치 상황에서 강경파를 대변하면서 ‘여전사’로 통한다. △서울(55) △예일여고, 이화여대 기독교학과 △새천년민주당 여성국장
△새정치민주연합 전국여성위원장 △17, 19대 국회의원(서울 성북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