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의 해외투자가 2013년에 2190억 달러(약 241조 원·누적기준)를 넘어서면서 양질의 일자리가 2006년 이후 연평균 2만4000여 개씩 사라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해외생산시설 및 기업을 국내로 다시 유턴시킬 실질적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대경제연구원은 3일 ‘해외직접투자 증가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1991년 이후 해외투자 규모를 분석한 결과 2006년 이후 국내 기업의 해외 직접투자(OFDI)가 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직접투자(IFDI)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조사기간(1991∼2013년) 중 1991∼2005년엔 한국이 외국인으로부터 받은 투자가 더 많았지만 2006년 이후에는 한국의 해외투자가 더 많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제조업 고부가가치 부문의 국내 투자기회가 해외로 빠져나가면서 2006∼2013년 연평균 2만4104개의 일자리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기업의 해외 직접투자의 목적은 과거에는 수출촉진 등을 위한 산업 활성화 측면에서 이뤄졌지만 최근에는 현지시장 진출과 제3국가 진출 등으로 바뀌었다. 투자 업종도 제조업 중심에서 광업과 금융,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 부문으로 다양화됐다. 제조업은 기존의 저기술 부문 대신 높은 기술로 평가받는 분야가 늘어났다.
정부도 이 같은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기업의 유턴을 추진하고 있지만 성과는 크지 않다.
임 연구위원은 “해외투자를 국내로 돌아오게 하려면 유턴 기업에 대한 세제지원, 금융 및 입지 보조금 확대를 통해 설비투자와 생산시설 확대로 이어지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개성공단을 유턴 특구로 활용할 수 있다는 조언도 나왔다. 개성공단의 월평균 임금이 약 64달러(약 7만 원) 수준인데 비해 중국의 칭다오 공단은 194달러, 베트남의 딴뚜언 공단은 약 96달러에 이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