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29일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며 ‘6·25 말 폭탄’ 이후 나흘 만에 공개 발언에 나섰다. 하지만 친박(친박근혜)-비박(비박근혜) 간 전면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는 새누리당 내홍에는 침묵했다.
박 대통령의 침묵에는 두 가지 의미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 유승민 원내대표의 퇴진을 요구한 만큼 더 보탤 말이 없다는 뜻이다. 김무성 대표와 유 원내대표를 지원하는 비박계에 대한 ‘무언의 압박’인 셈이다.
또 다른 의미는 여권 내홍과의 거리 두기다. 박 대통령의 25일 국무회의 발언은 ‘일하는 대통령’ 대(對) ‘발목 잡는 국회’의 프레임을 만들고자 하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여당에 공을 넘긴 만큼 자신은 국정에만 전념하는 모습을 보이려 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여권 분열을 촉발한 뒤 ‘나 몰라라’ 하는 식의 청와대 행태에 대한 비판 여론도 상존한다. ‘국정 리스크’가 초래된 상황을 조정하려는 노력보다는 여권 내 분란을 관전하는 듯한 모습은 ‘국정 컨트롤타워’로서 청와대가 취할 태도는 아니라는 지적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수석비서관회의에서 15분간 △24개 국정 핵심 과제 점검 △감염병 대응 체계 혁신 △과감한 소비 진작 대책 마련 △‘덩어리 규제’ 적극 발굴 및 개선 등을 주문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메르스와 극심한 가뭄 피해가 겹치면서 (우리 경제의) 충격이 커지고 있다”며 “경제를 정상적인 성장 궤도로 하루빨리 복귀시키고, 소비를 비롯해 일상적 경제활동이 제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과감한 소비 진작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면서 “타이밍을 놓치면 돈은 돈대로 들어가고 효과는 못 내기 때문에 결국 빚더미에 앉는 결과를 낳을 수밖에 없다”며 “속도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속도전’을 주문했다.
하지만 유 원내대표의 거취를 둘러싼 여권 내분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지면서 국회는 멈춰 섰다. 당장 시급한 ‘메르스 추가경정예산’마저 국회 통과 시점이 불투명하다. 유 원내대표가 사퇴할 경우에도 새 원내지도부를 구성하는 데만 2주 이상 걸릴 것으로 보인다.
결국 박 대통령의 ‘유 원내대표 찍어 내기’로 상당 기간 ‘국정 지연’이 불가피해졌다. 그런데도 박 대통령은 이날 ‘속도전’을 주문했다. 앞뒤가 맞지 않는 ‘엇갈린 지시’에 청와대 내부에서도 어리둥절하다는 반응이 적지 않다.
문제는 청와대가 ‘유승민 리스크’를 해결할 의지나 능력이 있느냐다. 박 대통령이 직접 문제를 제기한 상황에서 참모들이 해법을 조언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유 원내대표가 빨리 사퇴하는 방식으로 내홍이 봉합되기만을 기다리는 형국인 것이다.
당청 갈등을 조율해야 할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은 지난달 18일 조윤선 전 수석이 사퇴한 이후 43일째 공석이다. 당청 간 연결 통로가 사라지면서 고위 당정청 회동은 지난달 15일 이후 중단됐다. 여권 안팎에서는 이병기 대통령비서실장의 역할에 대한 문제 제기도 적지 않다. 박 대통령과 김 대표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해야 하지만 손을 놓고 있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28일 ‘이 실장과 통화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잘 수습해 달라는 얘기만 한다”고 전했다. 국회법 개정안 파동의 본질이 당청 간 소통 부족인데도 그 문제를 풀어 가는 과정에서 불통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박 대통령과 청와대의 국정 리더십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이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