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3兆 부실 몰랐다” “그럼 자연재해냐”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9월 22일 03시 00분


[2015 국정감사]

“최고재무책임자(CFO)가 계속 점검하고 있었지만 복잡한 해양 프로젝트에서 나온 사업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홍기택 KDB산업은행 회장)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은 대우조선해양의 수조 원대 부실이 회사 측의 ‘무책임한 경영’과 산업은행의 ‘부실한 관리’의 합작품이라고 한목소리로 지적했다. 과열되는 해외플랜트 경쟁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경영진도 문제지만 3조 원대의 손실을 숨겨온 대우조선이 2004년 이후 특별한 역할이 없는 60여 명의 고문·자문역을 선임해 총 100억 원가량의 급여를 지급하는 등 방만하게 경영했는데도 이를 방치한 산은의 책임도 크다는 것이다.

그러나 홍기택 회장과 대우조선 정성립 사장, 고재호 전 사장 등 전·현직 최고경영자(CEO)들은 “부실을 예측하지 못했다”며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여야 의원들은 이날 국감에서 잇따라 대우조선의 부실 은폐 의혹을 제기했다. 박대동 새누리당 의원은 “지난해 경쟁사들이 대규모 적자를 낼 때 대우조선도 적자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느냐”고 대우조선 경영진을 추궁했다. 박병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2014년 1월과 4월 이사회 속기록을 공개하며 “고재호 전 사장이 연임을 위해 부실을 감춘 것 아니냐”고 몰아붙였다. 1월 이사회에서는 “부실은 관리 가능하며 빅 서프라이즈는 아니다”라고 말했던 고 사장이 연임이 무산되자 4월 이사회에서 “해양플랜트 중 일부 제품의 생산 차질이 빚어지고 있으며 금액이 2조5000억 원 정도”라며 손실 가능성을 내비쳤다는 것이다.

김태환 새누리당 의원은 “대우조선이 2011년 9월부터 올 6월까지 총 110차례에 걸쳐 발주처인 노르웨이 송가오프쇼어와 설계 변경을 합의했는데도 발주처에 원가 상승 부담을 적극 요청하지 않아 1조 원대의 손실을 입었다”며 대우조선이 원가 상승에 대한 대처가 미흡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국감에 출석한 대우조선 전·현직 경영진은 수주 산업의 특성상 손실을 예측하기 힘들었다는 주장을 되풀이했다. 고 전 사장은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을 비교하면 본격적으로 해양플랜트를 수주한 시점과 완공 시점이 6∼9개월 차이가 난다”며 “해양 산업의 특성상 손익 파악 시점이 늦어진 것”이라고 해명했다. 남상태 전 사장과 고 전 사장 시절 CFO를 지낸 김갑중 전 부사장도 “재직 당시 이런 부실이 나올 줄은 몰랐다”고 답했다. 경영진이 이런 태도로 일관하자 유의동 새누리당 의원은 “3조 원의 부실이 자연재해냐”라며 분통을 터뜨렸다.

산은이 대우조선에 퇴직 임원들을 내려보내며 방만 경영을 방관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민병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산은으로부터 제출받은 ‘대우조선해양 자문·고문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04년부터 특별한 자문 실적도 없이 평균 8800만 원의 연봉을 받은 자문역이 무려 60명이었다. 자문역 중에는 산업은행 출신이 4명이나 됐다.

정치권 출신 인사를 사외이사에 앉힌 데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새정치민주연합 김기식 의원은 “2008년 이후 신규 임용된 사외이사 18명 중 12명이 정권과 관련 있는 낙하산 인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장윤정 yunjung@donga.com·김준일·강유현 기자
#대우조선#부실#자연재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