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클린디젤 패권… “전기車 잡아야 차기경쟁 승자”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0월 2일 03시 00분


[‘배기가스 눈속임’ 파문]
[요동치는 글로벌 車시장]<上>친환경 자동차 大戰 개막

“폴크스바겐 스캔들은 디젤 기술이 한계에 도달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제 차세대 기술로 움직일 때가 왔다.”

글로벌 자동차업계가 폴크스바겐의 배기가스 배출량 조작 스캔들로 떠들썩하던 지난달 29일(현지 시간). 미국의 전기차업체인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형 전기차인 ‘모델X’를 공개했다. 폴크스바겐이 친환경차로 포장했던 클린 디젤 엔진의 신화가 무너지는 순간, 전기차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을 선언한 셈이다.

폴크스바겐이 이번 사태로 최대 86조 원 이상의 손실을 입을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글로벌 자동차시장의 지각변동도 본격화하고 있다. 폴크스바겐의 디젤 엔진을 대체할 미래 친환경차 및 연료소비효율 개선 기술과 이 시장을 주도할 자동차업체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 자동차시장 지각변동 예고

1일 자동차업계와 증권업계 등에 따르면 2005년 폴크스바겐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7.8%였지만 클린 디젤 엔진을 앞세워 판매량을 늘리면서 지난해 시장 점유율은 11.3%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이번 배기가스 조작 파문으로 폴크스바겐의 추락은 명약관화하다.

독일 일간 빌트는 지난달 30일(현지 시간) 독일 자동차산업 전문가들을 인용해 폴크스바겐이 리콜 비용과 벌금 등으로 최대 650억 유로(약 86조4500억 원)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인 127억 유로의 5배가 넘는 규모다. 독일 일간 디벨트는 이와 별도로 주주들이 이번 사건으로 급락한 주가에 대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폴크스바겐은 이미 차량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보고 독일 잘츠기터 엔진공장의 특별근무 제도를 없앴다. 자동차금융서비스 부문도 연말까지 신규 채용을 중단했다.

이제 글로벌 자동차업계의 관심은 폴크스바겐의 디젤 엔진을 대체할 친환경차 기술과 이로 인해 수혜를 볼 업계로 쏠려 있다. 서성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사태로 결국 전기차 기술을 앞세운 미국과 유럽, 일본 업체 간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 친환경·연비 패러다임 급속히 변화

폴크스바겐 사태로 전 세계 자동차산업의 친환경 패러다임은 디젤에서 전기차로 급속히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자동차 전문가인 토니 세바 스탠퍼드대 겸임교수는 저서 ‘에너지혁명 2030’에서 “리튬이온 배터리가 kW당 200달러까지 떨어지면 3만 달러에 ‘포르셰911 카레라’의 성능을 가진 전기차를 만들 수 있다”며 “미국 내 평균가격이 2만2418달러인 현대·기아자동차 역시 경쟁하기 어렵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기존 대기업 중심의 자동차업계도 재편되면서 소규모 형태의 전문화한 자동차기업도 주목받고 있다. 테슬라의 매출은 포드의 1%에 불과하지만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4분의 1에 근접할 정도로 향후 성장성을 높게 평가받는다. 미국 로컬모터스는 3차원(3D) 프린터로 맞춤형 전기차를 생산하고 있다. 애플, 구글은 이미 자동차산업 진출을 선언했고 삼성그룹과 LG그룹, 일본의 파나소닉 역시 전기차 배터리를 포함한 자동차부품 산업을 미래의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글로벌 자동차시장은 폴크스바겐 사태를 계기로 기술뿐만 아니라 시장, 경쟁관계, 수요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급속한 변화를 맞을 것”이라며 “한국 정부와 완성차업계도 이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디젤 수입차 불안감에 국산차 판매량은 늘어

독일 뮌헨에 본부를 둔 독일자동차연맹(ADAC)이 유엔이 개발해 실제 주행 상황을 반영한 방식으로 배기가스를 측정한 결과 상당수 디젤 차량이 유럽연합(EU) 기준보다 10배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지난달 30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이번에 조사한 총 79종 가운데 기준치를 가장 많이 초과한 차량은 닛산의 X-트레일 1.6으로 질소산화물이 허용기준치의 14배에 달했고 현대차의 i-20도 최소 6배가 많았다.

한편 지난달 국내 5개 완성차업체는 신차 효과와 개별소비세 인하, 디젤 수입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영향을 끼치면서 내수 판매량이 지난해 9월보다 증가했다. 시장조사업체인 컨슈머인사이트가 국내 소비자 243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구매하고 싶은 자동차 유형’을 묻는 질문에 7월에는 디젤차를 택한 응답자가 40%에 이르렀지만 이번 사태 이후 20%로 낮아졌다. 반면 하이브리드는 같은 기간 10%에서 33%로 높아졌다.

정세진 mint4a@donga.com·이유종·김성규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