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하나를 통째 그릇으로”… 조선 도공, 日도자문화를 빚다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0월 13일 03시 00분


[수교 50년, 교류 2000년/한일, 새로운 이웃을 향해]<31>도조(陶祖) 이삼평

아리타 석장 신사에 있는 이삼평 조각상. 후손들의 얼굴 모습에서 공통점을 따 이삼평의 생전 모습을 자기로 만든 것이다(위 사진).
 이삼평의 영혼을 모신 도산 신사 위쪽 ‘도조의 언덕’에 자리 잡은 ‘도조 이삼평 비’(아래 사진). 1917년 아리타 주민들이 
이삼평을 비롯해 조선 도공들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아 세운 것이다. 아리타=유덕영 기자 firedy@donga.com·사가 현 제공
아리타 석장 신사에 있는 이삼평 조각상. 후손들의 얼굴 모습에서 공통점을 따 이삼평의 생전 모습을 자기로 만든 것이다(위 사진). 이삼평의 영혼을 모신 도산 신사 위쪽 ‘도조의 언덕’에 자리 잡은 ‘도조 이삼평 비’(아래 사진). 1917년 아리타 주민들이 이삼평을 비롯해 조선 도공들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아 세운 것이다. 아리타=유덕영 기자 firedy@donga.com·사가 현 제공
역사적으로 문화나 경제력에서 일본을 능가했던 한국이 결정적으로 일본에 뒤지는 계기가 된 사건이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이라는 점에서 이론은 없을 것이다. 무엇보다 조선이 자랑하던 도자기 기술이 일본으로 유출되면서 경제력이 역전됐다. 일본인들이 임진왜란을 ‘도자 전쟁(燒物戰爭·야키모노 센소)’이라고 부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전쟁에 참여했던 일본 성주들은 금속공 목공 제지공 섬유·직물공 등 다양한 조선 기술자들을 납치해 갔지만 그중 가장 혈안이 되어 데려간 것이 도공(陶工)들이었다.

총칼의 위협 속에, 온갖 수모와 불안 속에서 바다를 건넌 조선 도공들이 처음으로 상륙한 곳은 일본 규슈 사가 현의 항구 도시 가라쓰(唐津)였다. 가라쓰 일대에는 조선 도공들이 세운 도자기 가마가 지금도 무수히 남아있다. 이 일대에서 만들어진 도자기들은 가라쓰 항구를 통해 일본 각지로 퍼져나가 ‘가라쓰 모노’라고 불렸다.

일본 도예의 세 가지 흐름을 말할 때 가라쓰, 아리타(有田), 사쓰마(薩摩) 도예를 꼽는데 모두 조선 도공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중 일본 도자산업의 출발이며 도자의 신으로 추앙받는 이삼평(李參平·?∼1655)이 만든 아리타 이야기부터 시작하기로 한다.

○ 도자의 신 이삼평

수년 동안 도자기를 만들 수 있는 흙을 찾으러 다니던 이삼평이 발견한 이즈미 고령토 광산. 400여 년 동안 채굴이 이뤄져 산 가운데가 움푹 파였다. 아리타=유덕영 기자 firedy@donga.com
수년 동안 도자기를 만들 수 있는 흙을 찾으러 다니던 이삼평이 발견한 이즈미 고령토 광산. 400여 년 동안 채굴이 이뤄져 산 가운데가 움푹 파였다. 아리타=유덕영 기자 firedy@donga.com
사가 현 서쪽의 작은 마을인 아리타 일대는 400여 년 전인 1594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출병 때 진주성을 공격했던 일본 장수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다스리고 있었다. 그는 조선 침략에 참여했다가 퇴각하면서 150여 명의 조선 도공을 납치해 끌고 간다. 이 중에 금강 출신 이삼평이 끼어 있었다.

나베시마는 이삼평에게 처음에는 가라쓰 근방에서 도자기를 만들도록 했다. 하지만 이삼평은 흡족한 결과를 내지 못했다. 도자를 구울 수 있는 흙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는 도자 만드는 일을 뒤로하고 수년간 흙을 찾아 헤맸다. 그러다 마침내 1616년 아리타 동부 이즈미(泉) 산에서 고령토(백토)가 대량으로 묻힌 광산을 발견하고 도공 18명을 데리고 아리타로 이주한다. 이어 시라카와(白川)에 대형 가마를 짓고 백자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한다. 일본의 역사를 바꾼 도자산업이 시작되는 순간이었다.

○ 이삼평 조각상

4월 찾아간 아리타는 인구 2만여 명의 작은 마을이었다. 마을 사람들은 ‘조선인 이삼평’을 누구나 알고 있었다. “그를 거론하지 않고서는 마을을 설명할 수가 없다”며 “마을의 오늘이 있게 만든 분”이라고 이구동성으로 말했다.

1830년부터 도자기를 만들어온 일본 내 유명 도자기업체 ‘신가마’의 가지하라 시게히로(梶原茂弘) 대표는 기자에게 “이삼평 선생 덕분에 지금 우리가 이곳에서 도자기를 만들고 있다”며 “마음속 깊은 곳에서부터 조선 도공들에게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일본인들 중엔 한국으로부터 문화적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웬만해선 잘 이야기하지 않는 사람이 많은데 도자기 분야에서만큼은 한국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오히려 자랑스럽게까지 생각하고 있는 듯했다.

이즈미 광산은 이삼평에 의해 처음 발견된 이후 400년간 채굴이 이뤄지면서 일본 도자산업을 이끌어온 장소답게 풍광부터 달랐다. 주변은 온통 높은 산인데, 광산만 바위를 드러낸 채 움푹 파여 있었기 때문이다. 아리타 마을 사람들은 “산 하나를 모두 그릇으로 만들었다”고 말할 정도였다.

우선 이삼평 조각상이 있는 석장(石場) 신사부터 들렀다. 광산 바로 곁 나무 덱으로 정비되어 있는 오솔길을 따라 조금 걸으니 신사가 나왔다. ‘석장’이라는 이름이 말해주듯 신사는 광산이 발견된 후 도공과 석공들이 세운 것이다. 가파른 돌계단 위로 작지만 단아한 건물이 한눈에 들어오는 매우 한적한 신사였다. 돌계단을 올라서니 본존 왼쪽 작은 건물에 조각상이 모셔져 있었다.

말쑥한 한복 차림을 하고 편안하게 앉아있는 말년의 모습을 백자(白磁)로 구워 만든 것이었다. 장인이라기보다 선비처럼 지적인 표정에서는 인생을 달관한 여유까지 느껴졌다. 긴 수염이나 앞으로 모아 쥔 손 등 디테일이 매우 뛰어난 조각상이었다. 동행한 야마구치 무쓰미(山口睦) 아리타관광협회 전무이사는 “요즘 같으면 사진이라도 보고 만들었을 텐데 그때는 그런 게 없던 시절이라 작가가 자손들 얼굴을 세심히 관찰해서 상상력을 가미해 만들었다”고 했다.

○ 이삼평 비


이삼평은 죽은 후 신(神)으로 모셔졌다. 죽고 나서 3년째 되던 해인 1658년 세워진 ‘도산(陶山·도잔) 신사’가 바로 그의 영혼을 모신 곳이다. 신사는 350여 년의 연륜이 그대로 느껴지는 고색창연한 곳이었다.

곳곳에 자기로 가득한 점도 ‘도자의 신’을 모신 곳다웠다. 입구부터 거대한(높이 3.65m, 폭 3.9m) 자기 도리이(鳥居·신사의 경계를 표시하는 문)가 관람객을 맞는데 1888년 세워진 것으로 유형 문화재로 등록됐다고 한다. 신사에 놓여 사심(邪心) 있는 자들을 감시하는 괴수인 고마이누(박犬)나 대형 물 항아리, 본전의 난간 등도 모두 자기로 만든 것이었다.

신사에서 만난 미야타 다네신(宮田胤臣) 궁사(宮司·신사를 지키는 우두머리 신관)는 “아리타의 도자기 산업을 일으켜 일본을 아시아 경제 강국으로 만든 이삼평의 업적을 기리고, 번영을 위해 노력하자는 취지로 신사가 설립됐다”고 했다.

도산 신사에 가면 꼭 들러야 할 장소가 있으니 바로 ‘도조의 언덕’이었다. 왼쪽으로 난 오솔길을 따라가다 비탈진 돌길을 걸어 올라가면 나온다. 이곳에는 오벨리스크(네모진 거대한 돌기둥) 모양의 ‘도조 이삼평 비’가 하늘을 향해 솟아 있다. 아리타 마을이 한눈에 들어오는 명당에 비석을 세운 것이다.

비석 뒤편으로 가보니 고인의 업적이 빼곡하게 적혀 있었다. 미야타 궁사는 그중 ‘대은인(大恩人)’이라는 글자를 손으로 가리키며 이렇게 읽어주었다. ‘이삼평은 우리 아리타의 도조임은 물론 일본 요업계의 대은인이다. 현재 도자기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그 은혜를 받고 있다. 그 위업을 기려 여기에 모신다.’

‘도조 이삼평 비’는 1917년 도산 신사에 신위를 모실 때 함께 세운 것이라고 한다. 아리타 사람들은 그로부터 매년 4월 말에서 5월 초까지 5일간 도자기 시장을 열고 5월 4일엔 도조제(陶祖祭)도 지낸다. 아리타 사람들은 이렇게 지극정성으로 이삼평에 대한 고마움과 은혜를 잊지 않고 있었다.

○ 14대 이삼평


일본에 안착한 이삼평의 일본 이름은 가네가에 산페이였다. 산페이는 삼평의 일본식 발음이다. 훗날 가네가에 가문 족보에서 산페이의 본래 성이 ‘리(李)’라는 게 밝혀져 메이지 11년(1878년)에 ‘리참평’으로 개명된다.

이삼평이 작고한 해(1655년)가 확인된 것은 아리타의 용천사라는 절에 보관되어 있던 기록에 ‘1655년 몰(沒)’이라고 적힌 것이 발견된 덕분이었다. 1959년에는 이삼평이 세운 덴구다니(天狗谷) 가마터에서 그의 이름이 적힌 묘석이 발견됐다. 비록 아랫부분이 반 토막 난 상태였지만 고인의 흔적을 증명해주는 매우 귀중한 발굴이었다. 묘석과 덴구다니 가마터는 모두 사적으로 지정돼 있다.

지금 아리타에는 이삼평의 14대손이 살고 있었다. 기자는 종가(宗家)라 할 수 있는 아리타 이삼평 갤러리에서 그를 만날 수 있었다. 한눈에 봐도 순수한 일본인으로 보이지 않고 한국인의 풍모가 느껴졌다. 1961년생인 그는 부친인 13대 이삼평 가마에서 도자기 제작 수련을 하던 2005년 초대 이삼평의 이름을 14대로 계승하여 400년 전통의 계승자가 되었다.

그에 따르면 초대 이삼평이 운영하던 가마는 4대에 들어서 맥이 끊겼다. 5대는 다른 가마에서 도자기 기술을 지도했고, 6∼10대는 무슨 일을 했는지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고 한다. 11대와 12대는 아리타의 다른 가마에서 기술을 가르쳤다. 이삼평 가마를 되살린 것은 그의 부친인 13대였다. 부친은 철도회사에서 퇴직한 뒤 1971년 이삼평 이름을 딴 가마를 200년 만에 다시 열었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현재 이삼평 가마는 초대 때의 화려한 명성과는 거리가 멀다. 14대 이삼평은 “중간에 문을 닫다 보니 일본 내에서도 아는 사람이 굉장히 적은 가마”라면서 “하지만 주변에서 ‘이삼평 가마’가 잘되어야 한다고 응원을 많이 해 준다”고 소개했다.

내년인 2016년은 초대 이삼평이 이즈미 광산 흙으로 자기를 만든 지 꼭 400년이 되는 해이다. 14대 이삼평은 현재 1대 할아버지의 작품을 재현하려 노력하고 있었다. 그는 “지금 사람들은 구마모토(熊本) 현 아마쿠사(天草) 흙이 좋다고 대부분 그 흙을 쓰고 있는데 나는 이삼평의 후손으로서 이즈미 산 흙이 여전히 좋다는 것을 널리 알리고 싶다”고 했다.

아리타=유덕영 기자 firedy@donga.com
#조선도공#일본#도자문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