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김모 준장이 해외 파병부대인 청해부대 부대장(대령) 시절 장병들의 급식비 7000여만 원을 빼돌린 혐의로 그제 긴급 체포됐다. 김 준장은 2012년 12월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제미니호 선원 4명의 구출 작전을 지휘해 대통령 표창까지 받은 군인이다. 당시 강감찬호 함장이었던 그가 빼돌린 돈으로 발렌타인 30년산 등 고가 외제 양주를 구입해 장성 진급 로비용으로 사용한 혐의가 드러났는데도 “관행”이라고 주장한다니 어이가 없다.
청해부대는 대한민국 해군이 소말리아 해역에서 한국 선박을 해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아덴 만에 파병한 부대다. 부대장이 이역만리 무더운 열대 바다에서 고된 근무를 하는 해군 장병들의 급식비로 사리사욕(私利私慾)을 챙긴 것은 어떤 이유를 대더라도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 지금이 군 급식비 횡령이 만연하던 자유당 때도 아니고, 횡령 금액의 다과를 떠나 일벌백계로 다스려야 한다.
현재 해군본부의 요직에 근무하고 있는 김 준장은 청해부대장 당시 장성 진급을 앞두고 있었다. 그가 빼돌린 국민 세금으로 고급 양주를 비롯한 고가 선물을 구입해 진급 로비용으로 바쳤다는 것도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진급하려면 상납을 해야 하는 썩어빠진 군 인사가 결국 방산 비리로 이어진다는 말까지 나오는 판이다. 김 준장은 함정 유류비 30억 원 중 일부를 빼돌린 의혹도 받고 있다. 아직도 군에 금품이 오가는 진급 로비가 존재하는지, 김 준장의 주장대로 급식비 횡령이 관행이라면 청해부대 전체에 그런 비리가 있었는지, 다른 파병부대에서도 유사한 횡령사건은 없는지 철저히 수사해야 할 것이다.
대통령 표창까지 받은 엘리트 군인이 부끄럽게 여겨야 할 비리를 저지르고도 ‘관행’이라고 할 만큼 해군 상층부에 비리 무감각 증세가 심각하다면 대한민국 군은 희망이 없다. 전 해군 참모총장 2명이 방산 비리로 사법처리된 데 이어 7일 전역하기까지 군 서열 1위였던 최윤희 전 합참의장까지 해상작전헬기 도입 비리 의혹에 연루돼 부인의 금융계좌에 대한 압수수색을 받았다. 땅에 떨어진 해군의 명예를 어떻게 추스를 것인가.
[알려왔습니다]
본보 10월 21일자 ‘소말리아 해적 물리친 영웅의 몰락’ 기사, 10월 22일자 ‘장병 급식비 빼돌려 진급 로비하는 게 軍 관행인가’ 사설과 관련해 김모 준장은 자신이 급식비를 횡령하거나 전용을 지시한 사실이 없고, 장성 진급을 위한 로비용 선물로 발렌타인 30년산 양주를 구입한 적도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급자들에게 건넨 사실이 없으며, 현재까지 군 검찰은 급식비 전용 혐의 외에는 기소하지 않았다고 알려 왔습니다. 또 김 준장은 유류비를 횡령하거나 개인적으로 사용한 사실이 없고, 군 검찰이 이 부분에 대하여는 문제삼은 바 전혀 없고, 급식비 횡령 혐의에 대하여 혐의사실을 부인하였을 뿐 ‘관행이었다’고 변명한 사실이 없으며, 오히려 청해부대장 재직시 유류비를 6억원 남짓 크게 절약하였고, 현재 급식비 횡령에 대한 군 검찰의 기소사실 전부에 대해 무죄를 다투고 있다고 알려왔습니다. 이 내용은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