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A 씨는 종종 아침을 거른다. 출근 때에는 자가용 중형차를 이용한다. 하루 평균 8.2시간 일하고 평균 6200원짜리 점심을 먹는다. 하루에 마시는 커피는 평균 2잔. 여가시간은 주로 TV나 스마트폰을 보며 보낸다. 본인 소유의 102m²(약 31평) 아파트에 살고, 자녀 교육에 매달 37만4000원을 쓴다. 운동은 일주일에 한 번 정도하고 취미 생활은 하지 않는다. 가정의 안녕이 인생의 가장 큰 목표라고 믿는다. A 씨는 매달 374만 원을 벌지만 중산층보다 못한 삶을 산다고 생각한다.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가 2일 내놓은 ‘2016년 대한민국 중산층 보고서’가 묘사한 한국 중산층의 평균적인 모습이다. 조사 대상 중산층은 지난해 4인 가구 기준 월평균 소득이 중위소득의 50∼150%(188만∼563만 원)에 해당하는 계층의 30∼50대 남녀 1128명이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79.1%는 스스로 ‘중산층보다 아래’에 속한다고 답변했다.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19.8%에 불과했다. 한국의 중산층 10명 중 4명은 노년에 빈곤층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노후 준비 수준을 고려할 때 자신과 배우자의 은퇴 후 예상 월소득을 묻는 질문에 39.3%가 100만 원 미만이라고 대답했다. ‘3층 연금’으로 불리는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을 모두 보유한 사람은 13.9%에 불과했으며 응답자의 7.5%는 연금을 하나도 들지 않고 있었다.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는 응답자도 전체의 40%에 그쳤다. 노후 대비용으로 마련한 금융자산은 평균 2664만 원이었다. 준비한 금융자산이 하나도 없다고 대답한 응답자도 30.1%나 됐다.
이윤학 100세시대연구소장은 “현재의 노후 준비 수준으로는 중산층이 은퇴 이후 계속 중산층으로 살기 어렵다”며 “연금과 부동산 등 다양한 전략을 활용해 노후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7
추천 많은 댓글
2015-12-03 06:16:51
100만원도 안되는 돈으로 먹고사는 가구수가 수두룩 하다.
2015-12-03 17:45:57
동아일보 사장님 아래 허바허바 라고 하는넘 댓글좀 못달게 해주세요. 저넘만 보면 왕짜증나고 동아일보가 싫어 집니다.
2015-12-03 10:28:13
대다수의 국민의 잘못이 아니다.내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다.1%의 부유층들이 필요이상으로 부의 집중이 되어 있어서이다.부의 재편성을 강제로라도 해야 할 것이다.그게 안된다면 민주주의는 실패한제도이고,사회주의로라도 가야한다고 본다.기회가 없는 사회는 절망적 사회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