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기념재단과 5·18민주유공자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 등 3개 단체가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의 마지막 항전지였던 옛 전남도청 본관의 원형 훼손 경위를 밝히기 위해 자체 조사에 나선다.
5·18기념재단과 5월 단체는 아시아문화전당 설계에 관여한 교수 등 전문가 4명에게 옛 전남도청에 남아 있던 5월의 흔적이 지워진 경위에 대한 연구 조사를 의뢰했다고 11일 밝혔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지난해 옛 전남도청 본관 건물을 민주평화교류원으로 리모델링했다. 최근 꾸려진 연구팀은 1980년 당시 시민군이 이용했던 옛 전남도청 내 상황실과 방송실, 건물 벽면에 남아 있던 계엄군 총탄 흔적이 어떤 과정에서 훼손됐는지 집중 조사할 방침이다. 옛 전남도청 공간을 예술기관으로 활용하게 된 경위에 대해서도 확인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10월까지 조사를 마친 뒤 결과를 발표하기로 했다.
김양래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5·18을 기념하는 공간으로 설계된 옛 전남도청이 어떻게 훼손됐는지를 꼼꼼히 살펴본 뒤 문제가 있다면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8월부터 5월 단체는 문화전당 측이 공사 과정에서 1980년 5월 27일 최후까지 저항하다 계엄군의 총탄에 맞아 사망자가 발생한 전남도청의 총탄 흔적 등을 형태도 없이 지워 버렸다고 주장했다. 당시 방송실과 상황실 등도 제대로 복원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방송 장비가 놓여 있던 곳은 엘리베이터가 들어서면서 아예 없어져 버렸고, 상황실은 옆방과 합쳐져 새로운 방이 돼 버렸다는 것이다.
5월 단체는 문화전당 측에 옛 전남도청을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복원한 뒤 보존하고 5·18의 역사와 정신을 기리는 5·18기념관으로 조성해 달라고 요구했으나 문화전당 측은 옛 도청 활용 방안에 대한 뚜렷한 입장을 내놓지 않은 채 예술 공간으로 쓰려고 했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문화전당 측이 7일 옛 전남도청 별관 4층에서 주최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지역위원회 센터 개소식을 막으면서 물리적 충돌이 빚어졌다. 5월 단체는 민주평화교류원 운영과 아태위 입주를 거부하며 이날 오후부터 천막 농성을 벌이고 있다.
문화전당 측은 유네스코 국제기구 유치를 위한 시설 공사 진행 사실을 미리 알렸고 5·18 기록물에 대한 보존 활동에 기여할 국제기구의 입주는 당연하다는 입장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