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리랑카에서 열린 ‘지역경제 활성화’ 훈련 과정을 주관하고 돌아왔다. 가뭄과 홍수 그리고 염분 피해를 받고 있는 농촌과 도시를 둘러볼 기회를 가졌다. 분명히 농촌마을인데도 채소밭을 찾아볼 수 없는 곳이 있었다. 바다로부터 유입된 짠물로 토양 염분의 농도가 높아져 채소 재배가 더 이상 불가능하다는 설명이었다.
기후온난화로 야기되는 이 같은 문제는 스리랑카에만 있는 일은 아니다. 몇 년 전에 중국과 영토분쟁을 겪고 있는 베트남의 리선 섬을 방문했다. 건기에는 우물물을 마실 수 없다고 했다. 바다 수위가 지하수위보다 높아져 짠물이 우물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미국 알래스카의 한 섬마을에서는 지구온난화로 해수면이 높아지자 이주투표가 실시됐다는 보도도 있었다.
우리나라의 해안도시와 섬마을도 장기적으로 볼 때 이러한 상황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정보, 통신 및 스마트기술을 도시 개발 및 관리의 영역에 접목하는 스마트도시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기후변화 대응 사업에 활용토록 해야겠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도시 사업은 개별 기술 위주의 분야별 단편적인 사업으로, 기후변화 대응 사업까지 포함하는 통합적인 해결책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기후 스마트도시의 조성을 창조경제의 주요 과제로 삼을 때가 되었다. 녹색기후기금(GCF)을 활용한 기후변화 대응 사업의 수행 등 국제기후재원 활용의 기회도 될 수 있다.
범지구적 스마트도시 시장은 2020년까지 1조40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파리 기후변화협약의 목표 달성에 53조 달러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녹색본드투자협의체는 녹색 인프라 투자가 현재의 400억 달러에서 1조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기후 스마트도시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해수면 상승, 홍수, 가뭄 등과 같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보, 통신 및 빅데이터와 같은 스마트기법을 활용하는 지속 가능하고 기후 친화적이며 안전한 도시를 말한다. 도시 개발과 기반시설 사업에 기후경제 개념과 생태도시 기법을 통합시키는 기후 스마트도시 개발은 국제적으로도 이제 시작 단계에 있다.
한국형 기후 스마트도시 비즈니스 투자 모형의 개발을 서둘러야 할 때다. 우리나라는 이미 스리랑카 쿠웨이트 인도 등 여러 나라와 스마트도시 사업의 양해각서를 맺고 있다. 보다 기후친화적인 사업으로 발전시켜 시장을 확대하길 기대해 본다. 개발도상국들의 기후변화 대응을 돕는 책임 있는 녹색투자의 글로벌 리더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