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100명 중 3명은 암을 앓거나 앓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암에 걸린 3명 중 2명 이상은 5년 이상 생존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가 27일 발표한 2016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그해 새로 암이 발병한 환자 수는 22만9180명으로 전년보다 1만2638명(5.8%) 증가했다.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86.8명으로 전년 대비 8.6명(3.1%) 늘었다. 2011년 이후 2015년까지 매년 약 3%씩 감소하다가 2016년에는 소폭 올랐다.
원인은 ‘유방암’ 증가가 꼽힌다. 위암 대장암 간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등 5대 주요 암 중 유방암만 2010년 이후 발생률이 계속 오르고 있다. 복지부는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유방암 연평균 증가율은 4.5%”라며 “여성 비만 증가와 조기검진 등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암 종류별로 보면 한국인은 위암에 가장 많이 걸렸다. 이어 대장암, 갑상샘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샘암 순이었다. 암 확진 후 현재 치료 중이거나 완치된 ‘암 유병자’ 수는 총 173만9951명으로, 전체 인구(5111만2980명)의 3.4%였다. 65세 이상 암 유병자는 74만7898명으로 같은 연령대 인구의 11%를 차지했다. 기대수명(82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2%였다. 남성(기대수명 79세)은 5명 중 2명(38.3%), 여성(85세)은 3명 중 1명(33.3%)꼴로 암이 발병할 것으로 추정됐다.
하지만 암은 더 이상 ‘불치병’이 아니다. 최근 5년간(2012∼2016년) 진단받은 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0.6%로 10년 전(2001∼2005년) 생존율(54.0%)보다 16.6%포인트나 높아졌다. ‘암 생존율’은 암 발생자가 암 이외의 교통사고나 다른 질환 등으로 사망할 가능성을 보정해 추정한 5년 이상 생존 확률이다. 성별, 나이가 동일한 일반인 대비 암 환자의 5년 후 생존 비율로 보면 된다. 암 생존율이 100%면 일반인과 생존율이 같다는 의미다.
암 종류별 생존율을 보면 갑상샘암(100%), 전립샘암(93.9%), 유방암(92.7%)은 매우 높은 반면에 간암(34.3%), 폐암(27.6%), 췌장암(11.0%)은 여전히 낮다. 성별로 보면 여성 생존율(78.2%)이 남성(63.0%)보다 높았다. 또 암 진단 후 5년을 초과해 생존한 암 환자 수는 91만6880명으로 전체 암 유병자의 52.7%였다. 5년 초과 생존자가 암 유병자의 절반을 넘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암 생존율은 1993∼1995년 41.2%, 1996∼2000년 44.0%, 2001∼2005년 54.0%, 2006∼2010년 65.2%, 2012∼2016년 70.6%로 계속 상승하고 있다.
다만 여전히 암은 한국인의 첫 번째 사망 원인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암 사망자는 7만8863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27.6%를 차지했다. 정부는 조기검진을 통해 암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 내년 7월부터 국가암검진사업에 폐암 검진을 도입한다.
복지부 김기남 질병정책과장은 “권역별 암 생존자 통합지지센터를 현재 7곳에서 내년 11곳으로 확대한다”며 “성인 암 환자와는 다른 소아청소년 암 환자를 돕는 시범기관도 내년에 2곳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