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청와대 참모진 개편이 임박했다고 한다. 임종석 비서실장을 비롯한 주요 참모들이 물러나고 뒤를 이을 후보군의 검증 작업이 막바지라는 소식이다. 하루라도 빨리 경제 살리기에 성과를 내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절박한 심정이 엿보인다.
집권 3년 차에 접어든 올해는 여야가 격돌하는 전국단위 선거가 없다. 국정 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이런 상황에서 출범할 2기 청와대는 지난 20개월간의 국정 운영을 반면교사로 삼아 새로운 로드맵을 짜야 한다. 오랜 관행과 땜질식 대응에서 과감히 탈피해 근본적 체질 개선에 집중해야 할 때다.
본란에서 지난해 말 청와대 전면 개편을 촉구하면서 지적했듯이 ‘청와대 정부’라는 비판은 2기 청와대가 극복해야 할 최우선 과제다. 부처 장관들에게 국정 운영의 자율성을 주기보다는 청와대가 국정 전반을 틀어쥐니 ‘만사청(靑)통’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청와대 민정수석실 특별감찰반원의 비위 사태가 민간인 사찰 논란으로 번지고, 기획재정부 전직 사무관의 폭로가 청와대 외압 시비로 불붙은 것도 1기 청와대가 자초한 측면이 크다. 이 고리를 끊어내지 못하면 공직사회에서 청와대 눈치만 살피는 복지부동은 갈수록 심화될 수밖에 없다.
1기 청와대가 대선 때 기여도에 따른 논공행상식 인사였다면 2기 청와대는 자기 진영을 과감히 뛰어넘는 파격 인사가 필요하다. 청와대 개편이 ‘우리 편’만 찾는 닫힌 청와대에서 열린 청와대로 나가는 전환점이 되어야 한다. 적폐 청산으로 대표되는 과거형 국정 스타일에서 벗어나 미래지향적이고 실용적인 노선으로의 변화가 절실하기 때문이다.
이번 청와대 개편은 협치(協治)의 계기가 되어야 한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빛을 본 개혁입법이 거의 없었던 것은 청와대를 중심으로 집권세력이 폐쇄적인 태도를 못 버린 것도 영향이 있다. 과거에서 미래로, 군림에서 지원으로, 유아독존에서 소통으로의 대전환에 적합한 인물들로 2기 청와대가 꾸려져야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