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가 몰아치던 지난해 말, 중국 상하이도 수은주가 0도 아래로 깊이 떨어졌다.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임정) 수립 100주년을 앞두고 취재차 나선 길이었다. 황푸(黃浦)강의 습기를 머금은 찬바람은 무겁게 옷깃을 파고들었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창장(長江)강 이남에서는 겨울에도 난방을 하지 않는다. 100년 전 이역만리에서 독립운동을 하던 임정 요인들 역시 고향집의 뜨끈한 구들장이 그리웠을 것이다.
상하이는 발 닿는 곳마다 독립운동의 기억이 켜켜이 쌓여 있다. 흔히 ‘상하이 청사’라고 부르는 임정 마당로(馬當路) 청사(1926∼1932년 사용)는 1993년 복구해 문을 연 지 25년이 넘었다. 지금도 한국인들의 발길이 끊일 새가 없었다. 현장에서 역사를 배우고자 하는 수요가 적지 않았다.
그러나 역사적 건물과 장소는 옛 모습이 그대로 남아 있기도, 없기도 했다. 1921년 임정 신년축하식 기념촬영 장소(영안백화점 옥상)는 벽돌 하나 달라진 게 없었지만, 1920년 신년축하회가 열렸던 ‘일품향여사(一品香旅社)’는 진즉에 헐리고 ‘래플스 시티’라는 복합쇼핑몰이 들어서 있었다.
김광재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이 지난해 위치를 밝힌 임정 하비로(霞飛路) 321호 청사도 마찬가지다. 한성, 노령 등 국내외 조직된 임시정부가 이 청사에서 통합했다. 현재 주소로 화이하이중루(淮海中路) 651호인 이곳에는 의류 매장이 들어서 있었다. 서쪽으로 100m 정도 가면 독립임시사무소 자리가 있지만 역시 지금은 대형 스포츠의류 매장이 서 있다. 번화한 화이하이중루에는 프랑스 조계 가로 조경의 특징인 플라타너스 나무가 여전히 줄지어 서 있었지만, 거리를 지나가는 누구도 이곳에 임정의 두 번째 청사가 있었다는 걸 모르는 것처럼 보였다.
막상 현장에 가도 아무런 흔적이 없다면 당대 독립운동가들의 결기를 떠올리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더구나 독립운동 역사의 현장을 답사하고자 하는 사람조차 어디가 어딘지 찾기 어렵다는 것은 문제다.
일부 장소의 위치가 최근에 드러나기도 했지만, 임정 수립 100년이 지나도록 역사적 장소에 표석 하나 없다고 누구를 탓할 일은 아니다. 한중 관계는 수교 뒤에도 여러 정세에 따라 좋다 나쁘다 했다. 남의 나라 땅에 기념물이나 표석을 세우는 게 쉬울 리 없다.
대신 우리 정부가 당장 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일이 있다. 해외 독립운동 역사 유적의 당대 모습을 역사 지도와 함께 증강현실(AR)로 제작해 교육에 활용하는 것이다. 상하이 여행자가 스마트폰의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켜고 이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표석이 없어도 자신이 서 있는 곳이 얼마나 역사적인 장소인지 쉽게 알 수 있을 테니 얼마나 근사할까. 가상현실(VR) 콘텐츠도 좋다.
고려 말 문인 길재(吉再·1353∼1419)는 “산천은 의구(依舊·옛날 그대로 변함없음)하되 인걸(人傑)은 간데없고”라고 읊었다. 하지만 근대 도시는 순식간에 변하기에 10년만 지나도 모습이 의구하지 않다. 대신 오늘날은 옛 모습을 재현할 수 있는 기술이 있다. 3·1운동 및 임정 100주년 디지털 기념사업에 정부가 나서는 건 어떤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