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둥이 장애 미리 막자” 손잡은 과학자들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월 8일 03시 00분


코멘트

고주연 교수 등 ‘보호네트워크’ 발족… 미숙아 부모 대상 예방 교육 실시
“아기 이상 징후 조기에 발견, 대처법 알려주는 시스템도 개발”

6일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열린 전국 이른둥이 부모 교육에 참여한 ‘이른둥이보호네트워크’ 운영위원과 강사들. 왼쪽부터 이순석 박사, 장지예 실장(서초키즈피지오센터), 정지운 센터장(노리움직임발달센터), 고주연 교수, 임현균 김현수 이용구 박사. 대전=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
6일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열린 전국 이른둥이 부모 교육에 참여한 ‘이른둥이보호네트워크’ 운영위원과 강사들. 왼쪽부터 이순석 박사, 장지예 실장(서초키즈피지오센터), 정지운 센터장(노리움직임발달센터), 고주연 교수, 임현균 김현수 이용구 박사. 대전=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
해마다 태어나는 3만 명의 이른둥이(미숙아) 부모들은 불안한 나날을 보낸다. 발달성 장애의 위험에 노출돼 있지만 의료 서비스의 손길이 잘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이들을 돕기 위해 보건의료 전문가와 대전의 대덕연구개발특구 과학자들이 손을 잡았다. 대구보건대 고주연 교수와 표준과학연구원 임현균, 전자통신연구원 이순석, 기계연구원 이용구, 김현수 박사. 이들은 최근 ‘이른둥이보호네트워크’를 발족하고 6일 대전 표준과학연구원에서 첫 행사로 전국 이른둥이 부모들을 대상으로 운동발달 교육을 실시했다.

네트워크에 따르면 매년 신생아의 7.2%인 3만 명가량(2016년 기준)이 이른둥이로 태어나고 그중 절반가량(외국 통계로 역추산)은 발달성 협응장애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 이 장애는 뇌 검사에서 잘 나타나지 않는 경미한 운동장애인데 36개월부터 뚜렷해진다. 일찍 감지하면 가족 중심의 물리치료 등으로 완화시킬 가능성이 많지만 국내 의료시스템에서는 조기 발견이 어렵다. 정부가 생후 9개월 때 신생아 운동발달 검진을 받도록 하고 있지만 부모 설문 방식으로 진행돼 진단이 쉽지 않다. 전문가들이 최소한 20분 이상 아이의 행동을 관찰해야 평가와 진단이 가능하다. 고 교수가 2017년부터 인터넷 발달 카페를 운영하면서 무료 상담과 대면 평가를 해주기 시작한 것도 그 때문이다. 그는 “이른둥이 부모들이 인터넷 카페에 가입해 정보를 주고받지만 비전문적 경험을 공유하는 데 그친다”며 “출생 후 3개월 단위로 운동기능을 평가해 이상 징후를 조기 발견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지난해 표준과학연구원의 측정 교육에 참가한 고 교수가 이런 현실을 털어놓자 과학자들이 각자의 분야에서 돕겠다고 자원했다. 임 박사는 인체기능 측정과 데이터 축적 및 표준화, 동작분석실을 운영 중인 이용구 박사 등은 행동 분석, 이순석 박사는 인공지능(AI)을 통한 장애판정과 교육 애플리케이션(앱) 개발을 약속했다. 임 박사는 “부모들이 이른둥이의 동영상을 찍어 올리면 곧바로 이상 유무를 판별해 대처 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 개발이 목표”라고 말했다.

대전=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
#이른둥이#미숙아#발달성 장애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