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의 1군, 3군사령부를 통합한 지상작전사령부 창설식이 9일 경기 용인시 사령부에서 열렸다. 북한의 전면·국지도발에 대비해 동부와 서부전선을 각각 지키던 전방의 야전사령부 체제가 하나로 합쳐진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상철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이 대독한 축하 메시지를 통해 “지작사 창설은 국방개혁 2.0의 첫 번째 성과”라며 “지작사는 ‘강하고 스마트한 국방’을 위한 군 개혁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지작사는 7개 지역군단과 1개 기동군단, 군수지원사령부, 화력여단 등을 지휘하는 초대형 사령부다. 후방지역을 방어하는 제2작전사령부(기존 2군사령부)와 육군본부 직할부대를 제외한 대부분의 야전부대(육군 병력의 60% 이상)를 지휘한다.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이후 유사시 한미연합군의 지상작전을 총괄하는 지상구성군사령부의 역할도 맡는다. 초대 사령관은 김운용 전 3군사령관(대장·육사 40기)이 임명됐다.
지작사 창설은 김대중 정부 때인 1998년부터 국방개혁의 주요 과제로 추진됐지만 군 내 반발과 전술지휘통제(C4I)체계 미비로 계속 미뤄지다 21년 만에 결실을 보게 됐다. 장성 및 병력 감축을 골자로 한 현 정부의 국방개혁이 본격 시동을 거는 계기이기도 하다. 두 야전사가 합쳐지면서 4성 장군은 8명에서 7명으로 줄고 육군 내 장성 직위도 10여 개가 감축됐다. 지작사 창설로 한반도의 짧은 종심(전방∼후방 핵심 지역 간 거리)에서 보다 신속한 작전 지휘와 효율적 전투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육군은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