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 컨설팅]임대사업자 거주주택 비과세 한번뿐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월 22일 03시 00분


코멘트

은퇴후 장기임대주택 절세법


조영욱 국민은행 세무자문팀장
조영욱 국민은행 세무자문팀장
Q. 직장인 김모 부장(55)은 서울에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A) 외에 노후 대비용으로 소형 주택 2채(a, b)를 매입한 뒤 장기임대주택으로 등록해 임대 중이다. 퇴직 후에는 소득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것 같아 살고 있는 집(A)은 팔고 작은 집(B)으로 이사할 계획이다. 그리고 현재 집을 팔고 난 여윳돈으로 추가로 주택 1채(c)를 더 사 임대주택 3채로 월세 수입을 늘릴지도 고민 중이다. 올해부터 장기임대주택에 대한 과세가 강화된다는데 이 같은 계획에 큰 문제는 없을까?

A. 우선 올해부터 연 2000만 원 이하인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비과세가 분리과세(14%)로 전환된다. 단, 주택임대사업자 등록(구청 및 세무서)을 하고 임대료가 연 증가율 5% 이하인 경우 세액 계산 시 필요경비 60%가 차감되고 주택임대소득 외 다른 종합소득금액이 2000만 원 이하인 경우에 적용하는 공제(400만 원)를 적용받을 수 있다. 김 부장의 경우 필요경비는 60%가 적용되지만, 퇴직 전까지는 종합소득금액이 2000만 원이 넘기 때문에 공제금액 400만 원은 퇴직 후 소득이 발생하지 않는 연도부터 적용된다.

김 부장이 집을 줄여가기 위해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A)을 양도한다면 거주주택 외에는 전부 장기임대주택으로 등록된 주택(a, b)이므로 거주주택(A)에 2년 이상 거주했을 시 우선적으로 비과세를 적용받을 수 있다.

이후 새롭게 거주할 집(B)과 임대주택(c)을 각각 1채씩 매입할 경우 새롭게 취득한 거주주택(B)과 임대주택(c)에 대한 세제 혜택은 종전과 차이가 있다. 새롭게 취득한 거주주택(B)은 지금처럼 2년 이상 거주한 후 이사를 위해 양도하더라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없다. 2월 중 시행 예정인 시행령 개정(안)에서 주택임대사업자의 거주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요건을 강화하였기 때문이다. 현재는 장기임대주택 이외의 거주주택에 대해 2년 거주요건 충족 시 횟수 제한 없이 1가구 1주택 비과세가 가능하지만 지금은 최초 거주주택에 대해서만 비과세 혜택이 주어진다. 즉, 평생 1회만 거주주택에 대한 비과세 적용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따라서 김 부장이 기존에 거주주택(A) 비과세 혜택을 받는다면 시행령 시행일 이후 취득한 주택(B)에 대해서는 거주주택 비과세를 적용받을 수 없다.

새롭게 취득한 거주주택(B)의 경우 오히려 양도 시 장기임대주택 때문에 다주택에 해당해 중과세 대상이 될 수 있다. 보유하고 있는 장기임대주택은 양도소득세 중과세 판단 시 주택 수에서 제외되지 않으므로 조정대상지역에서 새롭게 취득한 거주주택(B)을 양도하는 경우 중과세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새로 임대주택(c)을 취득하는데 해당 임대주택이 조정대상지역에 있다면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 대상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종부세 과세 대상이 될 수 있다.

향후 임대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도 종전에 취득해 임대 중이던 장기임대주택에 대해서는 중과세가 배제되고 장기보유특별공제가 적용 가능하다. 임대 개시 당시 기준시가 6억 원(비수도권 3억 원) 이하의 주택이면서 8년 이상 임대하는 경우 장기보유특별공제 50%가, 10년 이상 임대하는 경우 70%가 적용된다. 하지만 새롭게 취득한 임대주택은 원칙적으로 중과세 배제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

조영욱 국민은행 세무자문팀장
#장기임대주택#재테크#부동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