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 중단 발표한 서울시… 경쟁력 되살릴 대책은 못내놔
상인들은 특구 지정해 보존 희망… 전문가 “제조업 보존, 능사 아니다”
서울시가 청계천·을지로 재개발 사업을 연말까지 중단한다고 밝히면서 노포(老鋪)가 아닌 세운재정비촉진지구(세운지구)와 수표도시환경정비구역(수표구역)의 영세 공구상과 제조업체는 어떻게 될지 관심이 쏠린다.
현재 세운지구 3구역 공구상과 예술가 등으로 구성된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는 이곳을 제조문화산업특구로 지정해 온전히 보존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24일 서울시 관계자는 “청계천변 공구상과 그 뒤편 영세 제조업체를 도심전통사업으로 지정해 유지, 발전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실태조사를 거쳐 보존 및 활성화 방안을 연말까지 만든다는 방침이다. 전날 서울시는 이와 관련해 공공부지에 ‘상생협력 임대상가’를 만드는 방안과 환경오염방지 대책을 갖춘 공동작업장을 지원하는 방안을 거론했다.
그러나 서울시가 자체적으로 경쟁력이 없다고 판단해 재개발을 통한 철거를 결정한 이들 공구상과 제조업체를 보존하는 것이 적절한지는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도심 제조업을 살리겠다며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 앵커’ 터로 서울시가 확정한 5곳은 성동 수제화, 중랑 봉제, 구로 기계금속, 강북 봉제, 그리고 중구 인쇄다. 세운지구와 수표구역 공구상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스마트 앵커는 첨단 설비를 스스로 장만하기 어려운 소기업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기업 간 협업을 도모하는 공간이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지난해 3월 ‘다시·세운 프로젝트’ 2단계 착수 발표 설명회에서 세운지구의 인쇄산업에 방점을 찍고 인쇄 진흥계획 수립, 인쇄박물관 건립 등을 약속했지만 세운지구나 수표구역 영세 제조업체 등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도심 제조업을 무조건 보존하는 것만이 답은 아니라고 조언한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과거와 같은 상권을 유지하기 힘든 상황에서 보존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이들 업체의 기능을 살리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도쿄, 런던 같은 세계적인 도시를 살펴봐도 과거 도심에 있던 제조업이 비싼 임차료를 부담하지 못하면 외곽으로 밀려났다”고 말했다. 심 교수는 “재개발 사업이 한참 진행 중일 때 계획을 바꾸는 것은 사회적 기회비용을 증가시키고 행정프로세스의 신뢰를 깨뜨린 선례로 남게 된다”고 지적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