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박종배]에너지 관리, 수급안정 넘어 효율 높이는 혁신전략 필요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1월 31일 03시 00분


코멘트
박종배 건국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박종배 건국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화석에너지에서 탈피해 청정에너지로의 전환과 에너지 수요 관리 강화는 에너지 정책의 세계적 화두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에너지 효율 부문에 대한 투자 확대를 권장해 왔다. 그간 우리나라의 에너지 수요 관리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생산 활동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급의 안정화에 기본적인 목표를 두었다. 고효율 설비 보급을 통한 수요 감축과 에너지 비용을 줄이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시점에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스마트한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구현이 절실하다.

부문별로 보면 건물 부문은 냉방, 난방, 조명, 환기 등 전체 에너지 사용을 기반으로 에너지효율등급 및 제로에너지 건축물 등을 지정하고 보급해야 한다. 산업체에서는 온실가스 규제 환경에 더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에너지 다소비 진단과 에너지 절감 시설 투자 인센티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실시간 에너지사용관리 기술(EMS)이 시스템 기반으로 이행됨으로써 명실상부한 스마트팩토리가 구축될 수 있도록 지원체계의 정비가 필요하다. 교통 부문에서는 자동차 및 타이어의 효율등급제, 인공지능형 자율주행 기술 개발 등을 통해 화석연료 의존형 교통수단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에너지공급자의 에너지 효율 서비스를 의무화해야 한다. 선진국에서는 에너지 효율 향상 의무화제도(EERS)를 통해 에너지 공급자나 에너지 판매회사에 연차별 에너지 절감 목표를 부여한 뒤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 시장에서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있다.

에너지 효율은 화석연료 사용 저감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안보 기여, 생산성 향상, 자산가치 상승, 대기오염 감소 등 수많은 혜택을 제공한다. 에너지 효율시장의 창출은 고효율 설비의 생산, 에너지 효율 서비스산업, 에너지 절감량에 대한 검·인증 컨설팅산업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비즈니스와 일자리를 창출한다.

이제는 에너지전환의 핵심적 내용인 에너지 수요 관리를 위해 산업체 생산 환경, 상업용·업무용 건물, 유통·물류, 주거 등 에너지를 사용하는 전 부문에서 에너지 효율을 첫 번째 수단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정부도 현재 수립 중인 국가 에너지 효율 혁신전략(KIEE)에 보다 혁신적인 수요 관리 방안과 산업화 전략을 반영하기를 기대한다.

박종배 건국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기고#에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